제비꽃,홀아비꽃대,명자꽃,,,,
2009. 2. 14. 09:33ㆍ동식물 사진/식물,초목본,수생식물
제비꽃,홀아비꽃대,명자꽃,,,,
Magic Words (내 인생을 확 바꾸는 마법의 말)
우리는 항상 평탄한 생활만 있는 것이 아니다.
사랑하는 사람과 헤어질 때, 일이 힘들 때, 가족 중 누가 중병을 앓고 있을 때, 궂은 일이 있을 때,
남에게서 어떤 위로의 말, 또 내가 그런 사람에게 해줄 수 있는 말 중에서
마법성이 있는 말들이 있을 수 있다.
이 책에서는 그러한 말을 ‘마법의 말’이라고 했다.
1. ‘사랑해요’란 말은 아낌없이 해라.
2. 지금은 갑옷으로 무장하고 대비할 시간이다.
(살아가면서 이를 갈면서도 어쩔 수 없이 감내해야하는 상황을 만날 때)
(살아가면서 이를 갈면서도 어쩔 수 없이 감내해야하는 상황을 만날 때)
3. 자기만의 마인드 컨트롤을 주문처럼 외운다.
(책에서는 볼타 마인드 컨트롤이라 표현했다. 그저 자기 마음을 진정시킬 수 있는 말을 되뇌일 수 있도록 한다.)
(책에서는 볼타 마인드 컨트롤이라 표현했다. 그저 자기 마음을 진정시킬 수 있는 말을 되뇌일 수 있도록 한다.)
4. “나를 위해 침묵을”
(의미없는 논쟁이 벌어지거나 가족간에 갈등이 일어날 기미가 있을 때 하는 말)
(의미없는 논쟁이 벌어지거나 가족간에 갈등이 일어날 기미가 있을 때 하는 말)
5. 가끔은 공격도 필요하다
(상황이 불가피하다면 심술궂고 신경질적이고 무지막지한 사람이 될 필요가 있다. 공격의 고삐를 늦추지 말라.)
6. “간섭을 줄인다”
(상대방이 하는 일에 사사건건 간섭하면 정신적 육체적으로 건강을 잃을 수도 있다.
(상황이 불가피하다면 심술궂고 신경질적이고 무지막지한 사람이 될 필요가 있다. 공격의 고삐를 늦추지 말라.)
6. “간섭을 줄인다”
(상대방이 하는 일에 사사건건 간섭하면 정신적 육체적으로 건강을 잃을 수도 있다.
특히 부부간에 간섭을 줄이는 것이 약이다.)
7. 담장 위에 앉아만 있는 고양이가 행복할까?
(대다수 사람은 나태하고 게으른 성향을 조금씩은 갖고 있다. 그렇다고 담장 위에 앉아만 있는 고양이처럼 가만히
(대다수 사람은 나태하고 게으른 성향을 조금씩은 갖고 있다. 그렇다고 담장 위에 앉아만 있는 고양이처럼 가만히
있는 것이 마냥 즐거운 것은 아니다.)
8. 이 정도 스트레스 쯤이야
(살아가노라면 수많은 상황에서 스트레스를 받는다. 스트레스가 때로는 동기부여, 해결책준비, 상상력자극 등으로 좋은
(살아가노라면 수많은 상황에서 스트레스를 받는다. 스트레스가 때로는 동기부여, 해결책준비, 상상력자극 등으로 좋은
영향도 있지만 그렇지 않으면 ‘뭐 늘상 겪는 일인데’하며 스트레스를 가볍게 넘기려는 노력도 필요하다.)
9. 파티라면 기꺼이 노래하겠지만 오디션이라면 절대 사양합니다.
(더 좋은 기회를 위해 기다린다고 해서 안 될 것 없다는 것)
(더 좋은 기회를 위해 기다린다고 해서 안 될 것 없다는 것)
10. 선을 그으려면 반드시 분명하게 그어야 한다.
11. “왜 화가 나는데도 참아야 하지?”
(자기도 모르게 화를 감추려할 때 자문해본다. 자신에게 정직하지 않고서는 결코 정직한 사람이 될 수 없다.)
11. “왜 화가 나는데도 참아야 하지?”
(자기도 모르게 화를 감추려할 때 자문해본다. 자신에게 정직하지 않고서는 결코 정직한 사람이 될 수 없다.)
12. 속는 건 한 번이면 충분해.
(거짓말쟁이나 허풍쟁이를 만났을 때)
(거짓말쟁이나 허풍쟁이를 만났을 때)
13. 다음 비행기로 돌아가면 되지.
(여행 중에 만나는 사람과 즐겁지 않다면, 몸과 마음을 지치게 만들고 괴롭다면, 다음 비행기로 돌아가면 된다.)
(여행 중에 만나는 사람과 즐겁지 않다면, 몸과 마음을 지치게 만들고 괴롭다면, 다음 비행기로 돌아가면 된다.)
14. 딱 하나만 고르면 돼.
(배우자, 아파트, 직장 등은 하나만 고르면 된다.)
(배우자, 아파트, 직장 등은 하나만 고르면 된다.)
15. 의욕을 버리지 말라.
(끝까지 의욕을 버리지 않고 자신의 문제를 극복하려고 노력하라는 뜻)
16~17. 마음을 열자
(16-부모와의 관계, 17-형제자매 관계)
(끝까지 의욕을 버리지 않고 자신의 문제를 극복하려고 노력하라는 뜻)
16~17. 마음을 열자
(16-부모와의 관계, 17-형제자매 관계)
18~19. 제동을 걸자
(18-상사와의 관계, 19-친구와의 관계에서 정도에서 벗어난 행동을 할 때는 마음을 다잡고 제동을 걸자.)
(18-상사와의 관계, 19-친구와의 관계에서 정도에서 벗어난 행동을 할 때는 마음을 다잡고 제동을 걸자.)
20. 내일이면 확실해질 거야.
(한 잠 자고 난 다음에 생각하라. 내일 아니면 다음 날도 기다릴 수 있다는 뜻)
21. 내면의 소리에 귀를 기울여 봐.
(주위에 우리를 진심으로 걱정하고 위하는 사람의 조언도 도움이 되지만 결국 마지막으로는 자기 내면의 목소리에 귀를
(한 잠 자고 난 다음에 생각하라. 내일 아니면 다음 날도 기다릴 수 있다는 뜻)
21. 내면의 소리에 귀를 기울여 봐.
(주위에 우리를 진심으로 걱정하고 위하는 사람의 조언도 도움이 되지만 결국 마지막으로는 자기 내면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22. 시작하지 않으면 아무 문제없어.
(해서는 안 되는 일을 하지 않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처음부터 아예 시작하지 않는 것이다.)
(해서는 안 되는 일을 하지 않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처음부터 아예 시작하지 않는 것이다.)
23. ‘미안해요’로는 부족해
(큰 문제를 일으켰다면 단순히 ‘미안해요’란 말로는 부족하다.)
(큰 문제를 일으켰다면 단순히 ‘미안해요’란 말로는 부족하다.)
24. 넌 잘하고 있어.
(곤란한 상황에 처해 있을 때, ‘넌 잘하고 있어’ ‘최선을 다하고 있어’라고 말하라.)
(곤란한 상황에 처해 있을 때, ‘넌 잘하고 있어’ ‘최선을 다하고 있어’라고 말하라.)
25. 시계 태엽을 거꾸로 감지 말자.
(너무 과거에 집착하지 말자. 시계가 움직이지 않게 태엽을 거꾸로 감지 말라.)
26. 우리의 활기찬 생활을 위하여 ‘나에게 필요한 것들’의 목록을 만들어 보자.
(너무 과거에 집착하지 말자. 시계가 움직이지 않게 태엽을 거꾸로 감지 말라.)
26. 우리의 활기찬 생활을 위하여 ‘나에게 필요한 것들’의 목록을 만들어 보자.
27. 주위에 일어나는 일들을 모두 통제할 수는 없다.
28. 아직도 기회는 있어.
29. 외로움이 주변을 어슬렁거리면서 당신의 하루를 망치려 한다면 - “혼자 있어도 외롭지 않아.”
30. 몸을 계속 움직여 봐.
(일이 손에 잘 안 잡힐 때 효과를 발휘하는 말이다.)
31. 언제까지 슬퍼할 거야?
(오랫동안 슬픔에서 헤어 나오지 못할 때)
(일이 손에 잘 안 잡힐 때 효과를 발휘하는 말이다.)
31. 언제까지 슬퍼할 거야?
(오랫동안 슬픔에서 헤어 나오지 못할 때)
32. 미래 신봉자는 위험해
(아무도 한 치 앞을 내다보지 못한다. 삶을 달콤하고 낭만적으로 즐기려면 현재 이 순간이 가장 소중하다.)
(아무도 한 치 앞을 내다보지 못한다. 삶을 달콤하고 낭만적으로 즐기려면 현재 이 순간이 가장 소중하다.)
33. 걱정한다고 뭐가 달라지나?
34. 생각은 하되 느끼지는 말라.
(마음 안정)
(마음 안정)
35. 1회 공격부터 무리하지 말자.
(불안하고 초조해지는 순간이 오더라도 1회공격(야구)부터 무리하게 펀트하지는 말라.)
36. 요구할 건 요구해야지
(불안하고 초조해지는 순간이 오더라도 1회공격(야구)부터 무리하게 펀트하지는 말라.)
36. 요구할 건 요구해야지
37. 한 발짝 물러나면 숲이 보여
(나무만 보고 숲을 못 보는 것은 안 된다.)
(나무만 보고 숲을 못 보는 것은 안 된다.)
38. 거울아 거울아 나는 누구냐?
(거울을 보고 자문해본다. 예로 ‘나는 정직한가?’ ‘나는 친절한가?’... 등)
Howard Kaminsky / Alexandra Penney
이지선 옮김 / 예담 펴냄
(거울을 보고 자문해본다. 예로 ‘나는 정직한가?’ ‘나는 친절한가?’... 등)
Howard Kaminsky / Alexandra Penney
이지선 옮김 / 예담 펴냄
'동식물 사진 > 식물,초목본,수생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란타나 [lantana] (0) | 2009.02.22 |
---|---|
카라 (0) | 2009.02.15 |
복주머니란 (0) | 2009.01.24 |
독말풀 (0) | 2008.10.31 |
자주달개비 (0) | 2008.1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