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문화재와 박물관/국가지정 문화재(629)
-
서울중구가볼만한곳 사적 제258호 서울대교구주교좌명동대성당(명동성당)서울광장 스케이트장,광화문광장
서울중구가볼만한곳 서울대교구주교좌명동대성당(명동성당),서울광장 스케이트장,광화문광장 서울시 중구 명동2가에 위치한 명동성당의 공식적인 명창은 천주교서울대교구주교좌명동대성당이라는 긴 이름으로 쓰고 있습니다 한국의 천주교회의 중심축인 명동성당은 한국 가톨릭을 대표하는 성지입니다 명동성당은 사적 제258호로 지정된 국가지정문화재입니다 명동성당은 1883년에 조선교구를 맡은 블랑주교가 이곳 명동에 자리한 순교자인 김범우의 집과 땅을 한국인의 명의로 매입해서 우리나라의 신학생 육성을 위한 시설로 사용을 하였습니다 1892년에 이르러 이곳에 있던 집을 허물고 그 터에 파리외방전교회의 자금지원을 받아 성당건축을 시작하여 1898년에 완공한 명동성당은 우리나라에서 고딕양식으로 지은 최초의 성당입니다 우리나라에서 사제..
2023.01.07 -
경북 문경가볼만한곳 문경새재도립공원 명승 문경새재길 제 1관문 제 2관문 제3관문 (사적 제147호)
경북 문경가볼만한곳 문경새재도립공원 명승 문경새재길 제 1관문 제 2관문 제3관문 (사적 제147호) 경상북도 문경시의 문경읍에 자리한 고개길인 문경새재는 2007년에 명승으로 지정되었습니다 조선시대에 지어진 문경새재의 3개의 관문은 사적 제 147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조선 태종 14년에 개통이 된 문경새재 고개길은 영남지방과 기호지방을 잇는 영남대로 중에서도 가장 왕래가 많았던 조선시대의 옛길주에 대표적인 고개길로 세종실록지리지의 기록은 초점으로 동국여지승람에는 조령으로 기록이 전해오는 고개길로 조선시대의 영남도로에서 충청도에 한강유역권과 경상도에 낙동강유역권이구분되어 백두대간을 넘어 다니는 주도로의 역할을 했습니다 제1관문 주흘관, 제2관문 조곡관, 제3관문 조령관 이렇게 3개소의 관문과 원과 터와..
2022.11.24 -
서울 종로구가볼만한곳 유네스코세계유산 사적 제125호 종묘
서울 종로구가볼만한곳 유네스코세계유산 사적 제125호 종묘 서울시 종로구 훈정동에 위치한 종묘는 사적 제125호로 지정된 국가지정문화재이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도 등재되어 있습니다 종묘에서 치뤄지는 종묘대제와 종묘재례악 또한 인류 세계무형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는 우리의 문화가 역사성과 예술성을 함께 갖추고 있는것을 보여줍니다 종묘는 넓은 면적의 큰 공간속에 종묘의 정전과 영녕전에 부속 건물들이 지어져 있습니다 종묘는 조선왕조의 신위를 모셔놓고 제례를 지내온 왕실의 사당입니다 이곳은 죽은자와 산자의 만남이 이루어 지는 공간입니다 궁궐처럼 화려한 공간은 아니지만 단아한 모습을 보여주고 잇습니다 종묘에서 종묘대제가 매년 5월의 첫번째 일요일에 오전 10시부터 진행됩니다 향대청 일원 고려 공민왕 사당 향대청 일원..
2022.11.16 -
수원가볼만한곳 유네스코세계유산 사적 제3호 수원화성
수원가볼만한곳 유네스코세계유산 사적 제3호 수원화성 수원화성은 수원을 대표하는 문화 유적지입니다 사적 제3호로 지정된 국가지정문화재로 1997년에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도 등재가 되었습ㅂ니다 조선시대 정조 20년에 완공된 수원화성은 우리나라의 성곽문화의 백미입니다 일찌기 국내외에 모든 성곽들이 가지고 있는 장점만을 받아들여 우리의 성곽으로 토착화를 시켜가며 건설한 도시 성곽입니다 이는 세계사에서도 그 유례를 찾을수 없는 사례로써 계획을 하여 건설한 신도시가 수원화성입니다 또한 수원은 정조의 효심이 깃든 도시로 이곳의 수원화성에는 정조의 원대한 정치적인 포부도 함께 담은 건축물입니다 정조의 명을 받아 다산 정약용이 성의 설계를 맡아서 진행을 하였으며 거중기와 활차 녹로 등의 공사를 위한 신기재를 발명하여..
2022.11.15 -
충북 보은 유네스코세계유산 속리산 법주사
충북 보은 유네스코세계유산 속리산 법주사 충북 보은 속리산면 속산로에 위치한 법주사는 산라 진흥왕 14년(서기 553년)에 의신조사에 의해 창건되었습니다 이후 776년 중창을 하였고 조선조 중기에 들어서는 60여 동의 건물과 70여 개에 이르는 암자를 거느리고 있던 대찰이였습니다 하지만 임진왜란에 사찰 전체가 대부분 전소가 되었던것을 1624년 인조 2년 벽암 스님이 중창을 합니다 경내에는 우리나라의 3대 불상전 중에 하나인 대웅보전을 중심축으로 30여동의 건물을 배치하였습니다 주요 문화재 로는 신라 진흥왕 때 세운 팔상전(국보)은 5층 목탑이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목탑으로 연구에 중요한 자료입니다 또한 석련지(국보) 대웅보전 괘불(보물) 쌍사자 석등(국보) 사천왕 석등(보물)등 다수의 문화재가 전해..
2022.11.14 -
서울시 종로 유네스코 세계유산 사적 제122호 창덕궁
서울 종로 유네스코 세계유산 사적 제122호 창덕궁 서울시 종로구 와룡동에 자리하고 있는 창덕궁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어 있는 문화유적이며 사적 제122호인 국가지정문화재로 창덕궁은 정궁은 아니지만 조선 시대의 궁궐중에서 가장 많은 임금들이 거처를 하며 정사를 보던 궁궐중에 하나로 역대 임금들에게 가장 믾은 사랑을 받은 궁궐이였습니다 종로의 북쪽 방향에 태종 초기에 별궁으로 지은 궁궐이였지만 이후에도 궐내에는 정전과 선정전 그리고 소덕전 등의 전각들을 지어 궁궐의 규모가 커졌으며 창덕궁의 정문인 돈화문도 지어 마치 본궁처럼 사용하였습니다 1592년에 일어났던 임진왜란 때에 정궁인 경복궁과 함께 이곳 창덕궁도 화재로 소실되었지만 1608년에 광해군이 등극하자 1615년에 불로 소실된 정궁이였던 경복궁..
2022.1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