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걷기좋은길(73)
-
서울가볼만한곳, 서울걷기좋은길, 대공원 호숫가둘레길, 현대미술관 둘레길
서울가볼만한곳, 서울걷기좋은길, 대공원 호숫가둘레길, 현대미술관 둘레길 호숫가 둘레길은 2.8㎞ 길이로 걷기에 1시간여가 소요된다. 청계저수지의 아름다운 풍경과 관악산, 청계산의 탁트인 경관을 감상할 수 있다. 특히 가을을 맞아 단풍과 호수가 어우러진 풍경은 한 폭의 그림 같아 보는 이들의 탄성을 자아낸다고 대공원 측은 설명했다.
06:00:01 -
서울걷기좋은길, 봄날산책길, 까치고개생태육교~관음사~사당역
서울걷기좋은길, 관악산둘레길 까치고개생태육교~관음사~사당역 관음사는 관악산 주봉에서 북동쪽으로 뻗어있는 마지막 봉우리의 기슭에 있는 사찰이다. 신라 제51대 진성여왕 9년(895)에 도선국사가 창건한 비보사찰의 하나다. 비보사찰은 명당에 절을 세우고 기도하면 나라가 융성하게 된다는 불교의 호국 사상에서 비롯되었다. 천여 년 동안 기도의 도량으로 사용되어 오다가 1924년 주지 석주가 증축하였다. 1974년 진선당 박종하 스님이 주지로 부임하여 중건하기 시작하여 대웅전, 용왕각, 종각, 즉심시불의 비문석탑을 세웠다. 항간에 조선 고종 20년경에 봉은사의 스님들이 개창했던 것이라고 하지만 실제로는 그 당시 중건되었던 사실이 와전된 것으로 생각된다. 세간의 소리를 듣고 있다가 곧바로 구제해 준다는 관세음보살을..
2025.03.30 -
서울걷기좋은길, 서울 오래된골목길, 서울 종로구 계동길
서울걷기좋은길, 서울 오래된골목길, 서울 종로구 계동길 계동길(桂洞길, Gyedong-gil)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운니동 14-3에서 계동 4-3까지를 잇는 도로다. 도로명은 법정동 계동의 명칭을 인용하여 붙여졌다.
2025.03.20 -
서울가볼만한곳, 서울걷기좋은길, 시청역~성공회성당~덕수궁돌담길~덕수궁
서울가볼만한곳, 서울걷기좋은길, 시청역~성공회성당~덕수궁돌담길~덕수궁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 · 서소문동 및 종로구 신문로1가에 있는 길이다. 길의 이름은 덕수궁의 돌담을 따라 만들어진 길이라고 하여 덕수궁길로 명명되었다. 원래 덕수궁 권역에 있던 길로, 덕수궁 선원전 권역과 정전 권역을 나눈다. 인근에 정동길과 연결된다. 이곳은 '덕수궁 돌담길로도 유명하다. 덕수궁 돌담길은 시민들의 휴식처 혹은 연인들의 데이트 장소로 알려지기도 한다. 단풍나무와 덕수궁 돌담이 어우러지는 풍경 덕분이다. 정동길, 새문안로2길과 사거리에서 만난다. 그러나 덕수궁길 자체가 그렇게 큰 길은 아니어서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사거리와는 거리가 좀 있다. 사거리 중앙에 작은 로터리가 존재한다. 가 보면 분위기는 좋은 편. 이곳에 간 ..
2025.03.18 -
서울걷기좋은길, 동작충효길 7코스, 까치산길, 사당역~솔밭로생태다리~까치산 차없는 거리~백운고개 생태다리
서울걷기좋은길, 동작충효길 7코스, 까치산길, 사당역~솔밭로생태다리~까치산 차없는 거리~백운고개 생태다리 생태 감성을 체험할 수 있는 공간, 까치산길 충효길의 마지막 코스인 까치산길은 백운고개(사당이고개) 생태다리에서 시작해 까치산근린공원을 지나 사당역에 이릅니다. 까치산길은 동작의 남부녹지축을 연결하는 주요 구간으로 산림자원이 풍부한 지역입니다. 동작구에서 생태환경이 가장 훌륭한 코스답게 잘 보존된 까치산길을 걷노라면 피톤치드로 건강해지는 기분을 맛 볼 수 있을 것입니다.
2025.02.07 -
서울걷기좋은길, 동작충효길 6코스, 동작마루길 현충원상도출입문~숭실대입구역~살피재~상도근린공원~국사봉~신대방삼거리역
서울걷기좋은길, 동작충효길 6코스, 동작마루길 현충원상도출입문~숭실대입구역~살피재~상도근린공원~국사봉~신대방삼거리역 우애를 돈독하게 다지는 공간, 동작마루길 신대방삼거리역에서 출발해 국사봉 정상, 상도근린공원을 지나 살피재를 넘어 숭실대입구역을 지나는 동작마루길은 형제와 친구 간의 우애를 돈독하게 다질 수 있는 공간입니다. 특히, 양녕대군 이제 묘역을 지나 국사봉 정상에 오르면 국사와 동생 세종대왕을 걱정했던 양녕대군의 마음이 가슴 깊숙이 전해집니다. 또한, 숭실대학교 아래 교차로에서 관악구 봉천동으로 넘어가는 고개인 살피재는 옛날 이곳에 수목이 울창해 도둑이 많이 출몰하여, 이 재를 넘기 전에 사람들이 ‘살펴서 가라’고 하여 이름 붙여진 곳으로, 그 이름에서 이웃을 걱정하고 보살피는 끈끈한 사랑이 물씬..
2025.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