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탐방/경기도] 연무관(경기도 유형문화재 제6호)
2012. 1. 31. 06:30ㆍ전국 문화재와 박물관/국가지정 문화재
[문화재탐방/경기도] 연무관(경기도 유형문화재 제6호)
성을 지키는 군사들이 무술을 연마하던 곳으로 조선 인조 2년(1624) 남한산성을 쌓을 때 함께 지은 것으로 추정한다. 처음에는 연무당으로 부르던 것을 숙종(재위 1674∼1720) 때 ‘연병관’이라 쓴 현판을 하사하여 통칭 연병관 또는 연무관이라 부르고 있다. 이곳에서 무술을 닦은 무사들 중 무예가 뛰어난 사람은 선발되어 한양으로 진출하였다고 한다.
건물은 앞면 5칸·옆면 3칸 규모로 지붕은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다. 벽은 널벽으로 좌우 벽에 널문을 3개씩 설치하였다. 앞면은 벽이나 문이 없이 개방되어 있는데 흔적이 남아있어 여러 차례에 걸친 보수공사로 없어진 것으로 보인다.
건물은 앞면 5칸·옆면 3칸 규모로 지붕은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다. 벽은 널벽으로 좌우 벽에 널문을 3개씩 설치하였다. 앞면은 벽이나 문이 없이 개방되어 있는데 흔적이 남아있어 여러 차례에 걸친 보수공사로 없어진 것으로 보인다.
조선(朝鮮) 인조(仁祖) 2년(1624) 남한산성(南漢山城)을 축성할 때 건립한 것으로 성을 지키는 군사들이 무술(武術)을 연마하던 곳이며 이곳에서 무예가 뛰어난 사람을 뽑아 한양(漢陽)으로 보내기도 하였다고 한다. 당초에는 연무당(演武堂)이라 부르던 것을 숙종(肅宗)때에 수어사(守禦使) 김재호(金在好)로 하여금 개수(改修)하게 하고 연병관(練兵館)이라 쓴 편액(扁額)을 내리었다. 정조(正祖) 때에는 이를 수어영(守禦營)이라 개칭하였으나 그 뒤에도 통칭 연병관(練兵館) 또는 연무관(練武館)이라 부르고 있다. 이 건물은 초익공계(初翼工系) 양식(樣式)에 팔작지붕이며 내부는 우물마루를 깔았고 천장은 별도 시설이 없이 연등천장으로 되었다. 글출처~문화재청
연무관(경기도 유형문화재 제6호)
경기 광주시 중부면 산성리 400-1
경기도 광주시 문화공보과 031-760-4821
'전국 문화재와 박물관 > 국가지정 문화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범개방하는 남한산성행궁 관람 (사적 제480호) (0) | 2012.02.01 |
---|---|
[문화재탐방/제주] 성산 일출봉 천연보호구역 (천연기념물 제420호) (0) | 2012.01.31 |
[문화재탐방/제주]만장굴(천연기념물 제98호) (0) | 2012.01.31 |
[문화재탐방/제주] 산방산 (천연기념물 제376호) (0) | 2012.01.30 |
[문화재탐방/경기도] 남한산성 (사적 제57호) (0) | 2012.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