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방방곡곡 여행지/경기도 여행지(737)
-
인천가볼만한곳, 포구의 기능을 상실한, 북성포구
인천가볼만한곳, 포구의 기능을 상실한, 북성포구 일몰과 야경이 아름다운 곳으로 유명한 북성포구는 인천항의 항만 풍광으로 색다른 일몰을 조망할 수 있는 곳이다. 인천항 부두와 어선들이 늘어선 포구와 한편에 자리 잡은 어시장들의 모습은 이미 사진가들에게는 잘 알려진 포토 스폿이다. 배우 황정민과 이정재가 출연한 영화 촬영지로 알려져 있다.
2025.06.06 -
광주가볼만한곳, 무등산 자락에 사립 미술관, 의재 미술관
광주가볼만한곳, 무등산 자락에 사립 미술관, 의재 미술관 광주광역시 동구 무등산 자락에 있는 의재 허백련을 기리기 위해 설립한 사립 미술관. [개설] 의재미술관은 그림의 향기를 지역민들과 함께 나누는 광주광역시의 대표적인 문화 공간이다. 작품의 보존과 전시뿐만 아니라 우리 옛그림의 조사·연구와 교육을 병행하는 한국화 본산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의재미술관은 2001년 11월 의재(毅齋) 허백련(許百鍊)[1891~1977]의 화업(畵業)과 정신을 계승하기 위하여 건립된 미술관이다. 전라남도 진도에서 태어난 허백련은 20세기 우리나라 남종문인화의 대가(大家)이다. 일본 유학을 다녀와 전국적으로 활동하다가 1937년 광주에 정착하였고, 무등산 자락 춘설헌에 기거하면서 명작을 완성하였다. 또한, 시서화(詩..
2025.06.02 -
경기, 서울가볼만한곳, 과천 서울대공원 장미원축제
경기, 서울가볼만한곳, 과천 서울대공원 장미원축제5.24.(금)~6.2.(일) 10일간, 'ROSE BLOSSOM 장미, 피어나다'를 주제로 개최한다. 백만송이 장미꽃과 함께 소중한 이들과의 추억을 간직할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한다. [행사내용] 1. 전시공간구성 : 로즈스팟(포토존), 사진공모전 수상작 전시(2023) 2. 체험 : 상시체험, 원데이클래스, 목공일일체험 3. 공연: 재즈연주, 어쿠스틱 밴드 공연, 매직버블쇼 등
2025.05.26 -
경기인천가볼만한곳, 인천을 대표하는 공원, 인천대공원
경기인천가볼만한곳, 인천을 대표하는 공원, 인천대공원인천대공원은 연간 400만 명의 시민들이 찾는 수도권의 대표적인 공원이며, 누구나 맑은 공기를 마음껏 마실 수 있는 휴식공간입니다. 그리고 자연을 만끽할 수 있는 즐거움과 여유롭게 힐링할 수 있는 휴양공원입니다. 공원현황 위치 : 인천광역시 남동구 무네미로 236(장수동) 면적 : 2,665천㎡ 주요시설 : 사무소 1동, 수목원, 습지원, 숲학교, 캠핑장, 휴게음식점, 매점, 호수, 환경미래관, 목재문화체험장, 화장실, 운동시설, 공연시설, 주차장 등 운영시간: 하절기 05:00 ~ 23:00 , 동절기 05:00 ~ 22:00
2025.05.12 -
인천가볼만한곳, 한국이민사박물관. 월미산전망대. 월미산정상
인천가볼만한곳, 한국이민사박물관. 월미산전망대. 월미산정상 월미산 정상에 있는 월미전망대는 인천항과 인천대교, 연안여객선터미널, 주변의 섬 등을 조망하기에 좋은 곳이다. 월미산 정상까지는 도보로 약 30분정도 소요되며 셔틀버스인 물범카로 오르면 15분 정도 소요된다. 월미전망대의 원형계단을 올라가 전망대 꼭대기에 서면 인천 시내와 자유공원이 보이고 밑으로는 푸른 물결이 넘실대는 서해바다와 인천항을 볼 수 있다. 일몰이 되면 서해의 아름다운 낙조도 감상할 수 있다. 특히 야경명소로도 유명한데 23m, 3층 높이의 유리전망대는 야간에 환상적인 분위기를 연출한다. 전망대에 달빛마루카페가 있어 휴식하며 조망할 수 있다.
2025.05.07 -
경기군포가볼만한곳, 군포철쭉동산, 군포철쭉축제, 초막골생태공원 25, 4, 26 (토)
경기군포가볼만한곳, 군포철쭉동산, 군포철쭉축제, 초막골생태공원, 25, 4, 26 (토)군포 철쭉축제 기간 2025.04.19. (토)~2025.04.27. (일) 장소 경기 군포시 철쭉동산초막골생태공원초막골은 수리산이 가지고 있는 자연적인 환경과 조선시대 역사유적 등의 문화적 유산을 겸비한 생태문화공간으로 수리산도립공원, 철쭉공원과 연결되어 군포시의 대표 생태녹지축을 이루고 있습니다. 군포시의 새로운 랜드마크로서 시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장소로 생태· 역사·문화 스토리를 담아내어 문화다양성과 생태다양성이 함께하는 미래의 비전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2025.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