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하고 건강한 삶을 원한다면 더 많이 감사하라.
2011. 6. 30. 22:35ㆍ사진과 함께 좋은글과 시/좋은글과 시
행복하고 건강한 삶을 원한다면
더 많이 감사하라.
'감사'라는 단어는 느낄 감(感)자와 사례할 사(謝)
자로 만들어졌으며, 우리말 사전에서는 '고맙게
여기는 마음'으로 풀이하고 있다.
우리말의 '감사'에 해당하는 영어 'gratitude'는
라틴어 'gratus'를 어원으로 하고 있으며, 이 말은
'pleasing(기쁘게 해준다)'의 의미를 갖고 있다.
누군가에게 감사한다는 것은 그 사람을 기쁘게
하는 것이므로 감사할 줄 아는 사람들은 항상
더 많은 것을 얻는다.
성공한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의 배려를 당연시
하지 않는다. 작은 친절에도 고마워하며 어떤
식으로든 감사의 뜻을 전한다. 실제로 일본의
백만장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고액 소득자일수록 편지와 이메일의 응답이 빠르고
감사 편지를 더 신속하게 보내는 것으로 확인됐다.
우리는 왜 우리 자신에 대해 고마워하는 사람뿐
아니라, 다른 사람이나 세상에 대해 감사할 줄
아는 사람을 더 좋아할까? 거기엔 이런 심리적
이유가 있다.
고마워 할 줄 아는 사람은
1. 긍정적이며 다른 사람이나 세상을 소중하게
여긴다.
2. 작은 호의에도 당연시하지 않고 어떻게든
되갚으려 한다.
3. 그는 좋은 사람이고, 나는 그런 좋은 사람을
좋아한다.
반면 고마워할 줄 모르는 사람들을 대하면 이런
생각이 든다. '그는 부정적이며 다른 사람을 소중하게
여기지 않는다' '그는 이기적이며 배은망덕하다'
'그는 나쁜 사람이고, 나는 그런 나쁜 사람을 싫어한다.'
감사하는 마음은 인간관계뿐 아니라 신체 및 정신
건강과도 관련이 깊다. 감사는 스트레스를 줄여주고
부정적인 감정을 완화시킬 뿐 아니라 신체적인 건강
상태도 증진시킨다. 분노와 같은 부정적 감정에 대한
방어수단 중 감사함을 느끼는 것만큼 효과적인 것은
없다. 뭔가에 대해 마음속 깊이 고마움을 느끼면서
동시에 누군가를 극도로 미워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 두 가지 감정 상태는 함께 존재할 수 없기 때문
이다. 부정적인 감정과 공존할 수 없는 긍정적
상태를 유도해서 부정적 감정을 억제하는 행동치료
원리를 '상호제지의 원리'라고 한다.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 심리학과 로버트 에몬스
교수는 감사하는 마음이 정신건강 및 신체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실험으로 증명했다.
그는 사람들에게 매일 고마운 일 다섯 가지씩을
쓰게 했다. 그리고 그렇지 않은 사람들과 비교했다.
예상대로 감사 일기를 썼던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건강상태가 현저하게 좋았다.
스트레스는 적게 받고 행복감은 훨신 더 많이 느낀
다고 보고했다. 캘리포니아 심장센터 맥크래티
교수는 사람들에게 의식적으로 감사하는 마음을
갖게 한 결과 부교감신경계가 활성화되고 스트레스와
긴장 정도가 감소됨을 확인했다.
감사를 많이 느끼는 사람들은 더 낙관적이고 사고가
유연해서 문제해결 능력도 더 뛰어나다.
다른 사람들로부터 협조를 구하고 건강하고 행복하게
살기 위해서는 주위에 대해 고마움을 느끼고 감사
하는 마음을 갖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끌리는 사람은 1%가 다르다] 중에서-
'사진과 함께 좋은글과 시 > 좋은글과 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간관리의 궁극적인 목적도 행복해지기 위해서다. (0) | 2011.06.30 |
---|---|
일평생 지켜 나갈 교훈 한 가지 / 김동환 (0) | 2011.06.30 |
만 족 (0) | 2011.06.30 |
목표를 설정하는 4가지 방법 (0) | 2011.06.30 |
하늘의 별만을 바라보는 사람은 자기 발 아래의 아름다운 꽃을 느끼지 못한다. (0) | 2011.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