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 5. 8. 20:29ㆍ서울 어디까지 가봤니?/서울 여행지
매년 제야의 종 타종행사가 열리는 보신각(普信閣)
보신각(普信閣)은 서울특별시 있는 전통 한옥 누각이다.
보신각종을 걸어 놓기 위해 만든 것으로 정면 5칸, 측면 4칸의 구조로 되어 있다.
조선시대 때 한양에 종을 처음 건 것은 1398년(태조 7년)으로, 광주에서 주조한 종을 청운교 서쪽 종루에 걸었다. 1413년(태종 13년)에 종루를 통운교(지금의 종로 네거리)로 옮기고 1458년(세조 4년)에는 새로운 종을 주조하여 달았으나 임진왜란으로 종루는 소실되고 종도 파괴되었다. 그 후 1619년(광해군 11년)에 종각을 다시 짓고 종을 걸었는데 이때 세운 종각은 임진왜란 전의 2층 종루가 아니고 1층 종각이었으며 여기에 건 종은 명례동(지금의 명동 인근) 고개에 있었던 것을 옮겨왔다고 한다.
보신각종은 본래 원각사에 있던 종으로 세조 때에 주조한 것인데 1536년(중종 31년)에 숭례문 안으로 옮겨 놓았다가 1597년(선조 30년) 명례동 고개로 옮겼던 것을 광해군 때 종각을 복구하면서 이전한 것이다. 그후 조선 후기까지 4차례나 화재와 중건이 있다가 1895년(고종 32년)에 종각에 '보신각'이란 편액이 걸린 이후 종도 보신각종이라 부르게 되었다. 6·25전쟁으로 종각이 파손된 것을 1953년 중건하였다가 1980년 다시 2층 종루로 복원하였고, 원래의 종을 보존하기 위해 1985년에 새로운 종을 주조하여 지금에 이른다.
1980년 지금의 모습으로 복원된 보신각은 서울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전통 목조 건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매년 양력 12월 31일 밤 12시를 기해 보신각종을 33번 치는 제야의 종 타종행사는 대한민국의 가장 대표적인 새해맞이 행사이다. 매년 제야의 종 타종행사가 열릴 때마다 수많은 시민이 보신각 앞에 운집하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서울 어디까지 가봤니? > 서울 여행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교문화한마당 (조계사 앞길) ~3 (0) | 2011.05.09 |
---|---|
불교문화한마당 (조계사 앞길) ~2 (0) | 2011.05.09 |
광화문(光化門) (0) | 2011.04.27 |
대한제국의 정궁이었던 덕수궁 (석어당) (0) | 2011.04.27 |
남산봉수대 전통문화공연(무예시범 및 민속공연)~2 (0) | 2011.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