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7. 22. 06:00ㆍ전국 방방곡곡 여행지/전라도 여행지
[나주여행] 나주인의 정의로운 기상을 대표할 만한
건물로 손꼽히는 나주금성관 (羅州錦城館)
전남 나주시 과원동 109-5에 위치한 나주금성관 (羅州錦城館)은
객사로 고려·조선시대에 각 고을에 설치하였던 것으로 관사 또는 객관이라고도 한다.
객사는 고려 전기부터 있었으며 외국 사신이 방문했을 때 객사에 묵으면서 연회도 가졌다.
조선시대에는 객사에 위패를 모시고, 초하루와 보름에 궁궐을 향해
예(망궐례)를 올리기도 하였으며 사신의 숙소로도 이용하였다.
나주 금성관은 조선 성종 6∼10년(1475∼1479) 사이에 나주목사 이유인이 세웠다.
일제시대에는 내부를 고쳐 청사로 사용했던 것을 1976년 원래 모습에 가깝게 복원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앞면 5칸·옆면 4칸 규모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가 기둥 위에만 있는 주심포 양식이며,
칸의 넓이와 높이가 커서 위엄이 느껴진다. 『동국여지승람』에 의하면 금성관의 정문인
2층짜리 망화루도 함께 만들었으나 지금은 망화루의 현판과 내삼문만을 남산시민공원으로 옮겼다.
임진왜란(1592) 때의 의병장 김천일 선생이 의병을 모아 출병식을 가졌던 곳이며,
일본인이 명성황후를 시해했을 때도 이곳에서 명성황후의 관을 모셔 항일정신을 높이기도 하였다.
나주 금성관은 전남지방에 많지 않은 객사 중 하나로서 그 규모가 웅장하고
나주인의 정의로운 기상을 대표할 만한 건물로 손꼽히고 있다.
금성관은 나주목의 객사건물이다. 객사관 고려∼조선시대때 지방궁실로써
임금을 상징하는 전패(殿牌)와 궐패(闕牌)를 모셔두고 매월 초하루와 보름에
고을의 관리와 선비들이 모여 망궐례(望闕禮)를 올리며 중앙에서 내려오는 관리들을
양쪽의 익사(翼舍)에서 유숙하게 하던 곳이다. 지방의 도읍지에 관아건물이 들어서면
일반적인 경우는 중심축선상에 동헌과 정문, 루문 등이 자리하고
주변에 육방관 속의 건물과 내아들이 위치한다. 나주읍성내에는
목사의 내아(內衙), 관문(官門)인 정수루(正綏樓), 나주향교 등이 인근에 있다.
금성관 정문은 1966년에 나주 공원으로 이축해 갔다 한다.
금성관은 조선성종 6∼10년(1475∼1479) 사이에 목사 이유인(李有仁)이 건립했다 한다.
이후 선조 36(1603)에 크게 중수를 하고, 고종 21년(1884) 박규동 목사가 3창을 했다.
최근에 와서는 1963년 9월에 보수하였고, 다시 1976년에 완전 해체하여 거의 원형에 가깝도록 복원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일제 강점기에는 창호·마루등 내부를 개조하여
나주군청 청사로 사용되면서 유리창문을 달아 쓰기도 했으나 현재는 본래의 모습을 찾았다.
금성관은 규모는 정면 5칸, 측면 4칸의 단층팔작지붕이다.
그러나 칸넓이나 높이가 다른 건물보다 크게 되어 정청으로서의 위엄을 더한다.
금성관의 공포형식은 익공형을 하고 있다. 원래 익공집은
궁궐이나 정전 등의 부속건물과 누각, 정자 등에 많이 사용되었다.
조선중기 이후부터는 목조건물에 있어서는 다포계와 주심포계가 혼용되다가
새로운 형태로 익공계 양식이 대두되었다. 금성관은 고흥의 존심당과 함께
익공형식으로 관아건물의 유사한 형식을 보여주고 있다.
내부는 모두 대청으로 꾸몄으며 우물마루를 깔았고,
대형의 막돌초석에 약간의 배흘림을 둔 두리기둥을 세웠다.
내부에는 10개의 내진고주(內陳高柱)를 세웠으며 기둥 위로는 주두(柱頭)를 얹고
창방을 걸었으며 주칸마다 소로 2개 화반 1구씩 배치하였다.
공포는 주심포계 익공식으로 살미첨자와 끝은 쇠서로 되었고
행공첨차를 두어 외목도리를 받게하였다. 가구는 내진고주 위로 대량을 걸고
그 위로 동자주를 놓은 다음 종량을 얹힌 9량가(樑架)로 되어 있다.
창호의 구성은 중앙 세칸은 4개의 빗살문으로 되었고 양쪽 퇴칸에는
빗살문 2개를 달았다. 측면 역시 빗살 창문으로 중앙 2칸은 4짝, 양편 2칸에는 두짝이다.
금성토평비 (錦城討平碑)
(사진상 오른쪽 앞에 있는 비)
고종 31년(1894) 동학농민운동이 터졌을 때, 관군이 동학군과 싸워 나주성을 지킨 것을 기념하기 위해 세운 비이다.
거북을 새긴 받침돌 위에 비몸을 세우고 그 위에 지붕돌을 올린 모습이다. 받침돌은 땅 속에 파묻혀 그 윗부분만 보이고 있다. 비문의 내용은 크게 세부분으로 나뉘어 농민운동이 일어나 나주에까지 동학군이 쳐들어오게 된 과정과 당시 나주목의 수령이던 민종열 목사가 여러 장수들을 지휘하여 치밀한 방어계획을 세웠던 사실, 그리고 관군과 동학군이 나주목에서 싸우는 과정등을 자세하게 서술하였다.
동학군에 반대했던 유림들이 뜻을 모아 세운 것으로 짐작되며, 비문은 기우만이 짓고 송재회가 글씨를 써서 고종 32년(1895)에 세웠다.
동학항쟁 당시 나주를 중심으로 한 호남지방의 역사적 사실을 비교적 자세히 기록하여 동학농민운동의 연구에도 중요한 자료가 된다.
금성토평비는 고종 31년(1894)의 동학농민운동 때 동학군과 싸워 나주성을 수성한 것을 기념하기 위해 1895년 세웠다. 본래는 나주목 내의 정수루(正綏樓) 앞에 세워졌으나 1930년 금성관 앞으로 옮겼고, 1976년 현 위치로 옮긴 것이다.
비문의 내용은 먼저 갑오농민항쟁이 일어나면서 나주에까지 농민군이 들어오게 되는 과정을 간략히 언급하고 있다. 그리고 이후 유학을 장려하고 충효를 강조해왔던 민종열 목사가 여러 장수들을 지휘, 치밀한 방어 계획을 세우고 있음을 기록하고 있다. 끝으로 관군과 동학군이 나주목 내에서 직접 접전하는 과정을 비교적 자세하게 서술하고 있다. 한편 이 토평비의 건립과정은 관련자료가 없고 비문 속에서도 이를 명쾌하게 언급하지 않아서 자세하게 알 수 없다. 다만 이 비문을 지은 송사 기우만(松沙 奇宇萬)이 한말 이 지방에서 이름난 유림인 것을 감안할 때 농민군과 상반된 세력인 유림들의 발의로 이루어졌음은 충분히 예견된다.
현재 이 비는 다른 선정비들과 함께 위치하고 있으며, 비명은 「금성토평비」, 비문은 기우만이 찬(撰)하고 송재회가 글을 썼던 것으로 동학군의 항쟁에 대응하여 국가에 충절을 보인 나주목 내의 관군이 승리한 것을 기념하기 위해 세웠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조선의 유교가치관이 남아 있던 당시만 해도 그 의미는 컸을 것이다. 그러나 동학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이 재조명되는 현재의 상황에서 그 의미나 가치는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동학항쟁 당시 나주를 중심으로한 호남지방에서의 역사적 사실을 비교적 자세하게 기록한 사료라는 점에서 그 가치가 있다.
사마비 (駟馬碑)
(사진상 뒷줄 왼쪽 작은 비)
옛 나주군청에 서 있는 비로, 원래는 과원동 사매기 (‘사마교’의 음이 잘못 전하여 생긴 말인듯함)의 한 민가 담 옆에 있던 것을 1968년 이곳으로 옮겨 놓았다.
고려 현종 2년(1011) 거란이 쳐들어오자 왕은 수도 개경을 떠나 남쪽으로 피신하게 되었고, 이곳 나주에서도 10여일 동안 머무르는 일이 있었다. 왕이 네 마리의 말이 이끄는 수레를 타고 다리를 지나갔는데, 그 때부터 이 다리를 ‘사마교’라 불렀으며, 조선시대에 와서 고을 현감이 이 다리를 수리한 후 그 기념으로 비를 세워 놓았다.
비는 낮은 사각 받침돌 위로 비몸을 세우고 머릿돌을 올린 모습이다. 받침돌 윗면에는 연꽃무늬를 둘렀고, 머릿돌에는 구름무늬를 가득 새겼다. 비몸 앞면 위쪽에는 ‘사마교비’라는 비의 명칭을 가로로 새겼고, 앞뒷면에 걸쳐 비문을 새겨 놓았는데, 훼손이 심하여 알아보기가 힘들다.
비문에 의해 조선 효종 4년(1653)에 비를 세웠음을 알게 되었는데, 지금은 이곳으로 물이 흐르지 않아 다리의 흔적은 찾아볼 수가 없다.
나주금성관 (羅州錦城館)
전남 나주시 과원동 109-5
전라남도 나주시 문화공보실 061-333-5891
'전국 방방곡곡 여행지 > 전라도 여행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흥여행] 최고의 여름축제!!! 정남진 물축제 (0) | 2012.07.30 |
---|---|
[순창여행] 훗날 이곳에서 훌륭한 인재가 나올 것이라는 예언이 있었던 낙덕정 (樂德亭) (0) | 2012.07.23 |
[나주여행] 삼국시대로 떠나는 흥미진진한 시간여행! 나주영상 테마파크 (0) | 2012.07.21 |
[나주여행]이곳에서 숙박을 하고 난뒤에는 소망하는 모든 일들이 이루어 진다는 금학헌 (0) | 2012.07.19 |
[순창여행] 섬진강 장군목유원지, 요강바위를 아시나요? (0) | 2012.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