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를 대표하는 절중에 하나였던 사적 제349호 남원 만복사지 [전북/남원]

2013. 2. 17. 06:00전국 문화재와 박물관/국가지정 문화재

 

 

 

 

 

고려시대를 대표하는 절중에 하나였던 남원 만복사지 (南原 萬福寺址) 사적 제349호

 

 

 

 

만복사지는 기린산을 북쪽에 두고 남쪽으로 넓은 평야를 둔

 야산에 위치한 만복사터는 고려 문종(재위 1046∼1083) 때

지어진 것으로 전한다. 5층과 2층으로 된 불상을 모시는 법당이 있었고,

그 안에는 높이 35척(약 10m)의 불상이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

 당시에는 대웅전을 비롯한 많은 건물들과 수백 명의 승려들이

머무는 큰 절이었으나 정유재란(1597)때 남원성이 함락되면서

 불타 버렸다고 한다. 발굴조사시 많은 건물의 흔적을 찾았으며

청자와 백자, 많은 기와가 출토되어 고려시대 미술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를 제공한다. 5층석탑(보물 제30호)·불상좌대(보물 제31호)

·당간지주(보물 제32호)·석불입상(보물 제43호)등이 현재 절터 내에 남아있다.

고구려식의 절 배치를 따르고 있으며, 고려시대를 대표하는 절중에 하나로 의의가 크다.

 

 

 

 

 

 

 

 

 

남원 만복사지 당간지주 (南原 萬福寺址 幢竿支柱) 보물  제32호

 

 

절에 행사가 있을때 절 입구에 당(幢)이라는 깃발을 달아두는데

 이 깃발을 달아두는 장대를 당간(幢竿)이라고 하며 장대를 양쪽에서 지탱해 주는

두 돌기둥을 당간지주라 한다. 이 당간지주는 만복사터에 동·서로 마주보고 서 있으며,

지주사이에 세웠던 깃대는 남아있지 않고 이를 고정시켰던 구멍이 세 군데에 뚫려 있다.

현재 아래부분과 기단이 땅속에 파묻혀 있어 그 이하의 구조는 알 수 없다.

두 지주 각 면이 고르지 못하여 전체적으로 투박하고 별다른 장식이 없으며,

전체적으로 생략화·단순화된 것으로 보아 고려 전기의 작품으로 여겨진다.

 

 

 

 

 

 

 

 

 

 

 

 

남원 만복사지 석조여래입상 (南原 萬福寺址 石造如來立像) 보물  제43호

 

 

 

전라북도 남원시 만복사 절터에 서 있는

화강암으로 만들어진 높이 2m의 불상이다.

 만복사는 고려 문종(재위 1046∼1083) 때 창건된 사찰이고,

이 석조여래입상도 창건 때 같이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동국여지승람』 에 의하면 만복사에는 동쪽에 5층의 전각,

서쪽에 2층의 전각이 있고 그 안에 35척(尺)의 금동불이 있었다고 하는데,

이런 기록으로 보아 만복사가 매우 큰 절이었음을 알 수 있다.

민머리의 정수리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육계)가 둥글게 솟아 있다.

살이 오른 타원형의 얼굴은 눈·코·입의 자연스러운 표현과 함께 원만한 인상을 보여준다.

어깨에서 팔로 내려오는 곡선, 몸의 굴곡 등도 아주 원만하고 부드럽게 표현되어 있다.

 양 어깨에 걸쳐 입은 옷에는 둥근 칼라와 같은 독특한 옷깃의 접힘이 있으며,

그 아래에는 둥근 옷주름이 표현되어 있다. 오른팔은 들어 손바닥을 보이고

 왼팔은 아래로 내려서 역시 손바닥을 보이고 있던 것으로 보인다.

손은 따로 끼울 수 있도록 만들어 놓았는데 지금은 모두 없어진 상태이다.

 

 

 

 

 

 

광배(光背)는 머리광배와 몸광배로 이루어져 있으며 굵은 선으로 구분되고 있다.

 윗부분이 없어진 머리광배에는 활짝 핀 연꽃잎과 연꽃줄기가 새겨져 있고,

 몸광배에는 연꽃줄기만이 새겨져 있다. 이들의 바깥에는 불꽃무늬가

 조각되어 있고, 좌우에는 각각 2구씩의 작은 부처가 들어 있다.

남원 만복사지 석조여래입상은 얼굴이나 몸 등에서 매우 원만하고 부드러운

성격이 드러나 있지만 옷주름이나 몸의 자세는 다소 부자연스러운 면이 보인다.

통일신라시대를 거쳐 고려시대로 접어들면서 쇠퇴해가는 불상 양식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남원 만복사지 석조대좌 (南原 萬福寺址 石造臺座) 보물  제31호

 

 

만복사는 고려시대의 승려 도선이 창건하였다고 전하며,

불상을 올려놓는 받침인 석좌는 절 안에 위치하고 있다. 이 석좌는 거대한

하나의 돌로 상·중·하대를 조각하였는데 육각형으로 조각한 것이 특이하다.

하대는 각 측면에 안상(眼象)을 새기고, 그 안에 꽃을 장식했으며,

 윗면에는 연꽃모양을 조각하였다 중대는 낮으며, 짧은 기둥을 본떠 새겼다.

상대는 중대보다 넓어지고,평평한 윗면 중앙에 불상을 끼웠던 것으로 보이는

 네모진 구멍이 뚫려 있다. 옆면에 연꽃이 새겨졌던 부분은 주변 전체가 파손되었다.

이 작품은 통일신라시대의 전형적인 8각형에서 벗어난 6각형이며,
 안상 안에

꽃을 장식한 것은 고려시대에 유행한 양식으로, 11세기경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남원 만복사지 오층석탑 (南原 萬福寺址 五層石塔) 보물  제30호

 

고려시대에 승려 도선이 창건하였다고 전하는 만복사의 옛터에 서 있는 탑이다.

원래 이곳에는 절터 중앙에 목탑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1979년부터 1985년까지 7차에 걸친 발굴조사로 많은 건물지와 다수의 유물이 발견되었다.

현재 탑은 4층까지만 남아있고, 5층 이상은 모두 없어졌다.

탑의 받침대 역할을 하고 있는 기단부(基壇部)는 땅에 파묻혀 있는데,

이는 훗날 이 지역의 땅바닥이 높아졌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

 탑신부의 1층 몸돌은 대단히 높고 2층 이상은 약 3분의 1로 크기가 줄어 들었다.

몸돌에는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을 조각하였고, 지붕돌은 밑면 전체가 위로 들려 있어,

마치 목조건축의 지붕을 보고 있는 듯하다. 특이한 점은 각 지붕돌 위에 몸돌을 괴기 위한

별도의 네모난 돌이 끼워져 있는 것으로, 당대 석탑의 특징을 보여주는 한 예이다.

이 탑은 고려 문종 때인 11세기에 세워진 것으로,

 1968년 이 탑을 보수하다가 탑신의 1층 몸돌에서 사리장치가 발견되기도 하였다.

 

 

 

 

 

 

 

석등대석

 

 

 

만복사지 석인상

 

 

 

 

 

 

사적  제349호 남원 만복사지 (南原 萬福寺址)

전북 남원시 왕정동

남원시청 문화관광과 063-620-61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