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국태민안 풍년감사 사직대제 [중요무형문화재 제111호]

2014. 9. 28. 18:59전국 문화재와 박물관/국가지정 문화재

 

 

 

 

 

 

2014 국태민안 풍년감사 사직대제 [중요무형문화재 제111호]

 

 

 

사직대제는 종묘대제와 함께 국가적인 제사로

예로부터 건국과 함께 종묘와 사직단을 세우고

종묘는 제왕의 신위를 모시고 제사를 지냈으며

사직단에서는 토지신과 오곡신에게 백성이 편안하게

살수 있도록 풍요를 기원하는 사직제를 올렸으며

또한 가뭄이 들때에는 사직단에서 기우제도 올렸다

현재 봉행되는 사직대제는 태조3년 부터 올렸던

사직대제를 재현한 것으로 일제강점기에 중단 되었던

제향의식을 88올림픽을 계기로 복원하여 2000년에는

중요무형문화재 제111호로 지정되었고 2010년에는

사직제례악과 일무를 복원하였다 2014년 사직대제는

문화재청과 전주이씨대동종약원,농림축산식품부가

협력하여 덕수궁을 출궁하여 사직단에서 올려졌다

 

 

 

 

 

 

 

어가행렬

 

2014년 9월28일(일) 11시 덕수궁을 출발하여 세종로와 광화문을 지나고

사직로를 거쳐 사직단에 이르는 50분정도 소요되는 행렬로 임금께서

 직대제를 봉행하기 위하여 임금이 가마에 오르면 신하들이 함께 출발한다

 

 

 

 

 

 

 

 

 

 

 

 

 

 

 

 

 

 

 

 

 

 

 

 

 

 

 

 

 

 

 

 

 

 

 

 

 

 

 

 

 

 

 

 

 

 

 

 

 

 

 

 

 

 

 

 

 

 

 

 

 

 

 

 

 

 

 

 

 

 

 

 

 

 

 

 

 

 

 

 

 

 

 

 

 

사직단입장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의 축사

 

 

 

 

제례절차

 

사직대제의 절차는 영신례,전폐례,진숙,

초헌례,아헌례,종헌례,철변두,음복례,송신례,

망료의 순으로 1시간 30분정도 소요된다

 

 

 

 

 

 

 

 

 

 

 

 사직제례악

 

사직제에는 고려시대부터 음악을 사용하였다

송나라의 대성아악이 수입되어 연주되었으나

세종12년에 아악을 정비한다 정조때의 의궤에 나오는

기록보다 대한제국에 와서는 규모가 더 커진다

 

 

 

 

 

 

 

 

 

 

 

 

 

 

 

 

 

 

 

 

 

 

일무(佾舞)

국립국악고등학교

 

 

 

 

 

 

 

 

 

 

 

 

 

 

 

 

 

 

 

 

 

 

 

 

 

 

 

 

제관소개

 

 

 

 

 

 

 

사직대제 제물

 

진설되는 제물은 당과 바다에 생장하는

 동식물과 어물을 제물로 올린다 날것과

익힌것을 함께 제물로 사용하는것은 조상들이

날것을 먹고 살았던  그 옛날을 잊지

 않으려는 상고의 뜻을 담고있다

 

 

 

 

 

 

 

 

 

 

 

 사직단신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