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가볼만한곳, 고종의 잠저, 흥선대원군의 저택, 운현궁, 천도교중앙교당
2025. 4. 6. 06:00ㆍ서울, 경기 어디까지 가봤니?/서울 여행지
서울가볼만한곳, 고종의 잠저, 흥선대원군의 저택, 운현궁, 천도교중앙교당
운현궁(雲峴宮)은 조선 제26대 임금인 고종의 생부인 흥선대원군의 저택으로서, 고종이 탄생하여 즉위하기 전 12살까지 살았던 잠저이기도 하다. 운현궁의 이름은 서운관(書雲觀, 관상감의 별칭)이 있는 앞의 고개라 하여 운현(雲峴)이라 불렸다. 고종이 즉위하자 이곳에서 흥선대원군이 정치를 하였고, 궁궐과 직통으로 연결되었다. 흥선대원군은 1882년(고종 19년) 임오군란 때 여기서 청나라 톈진으로 납치되었다. 한때는 궁궐에 견줄 만큼 크고 웅장하였다고 한다. 이로당 뒷편에 있던 고종이 소년 시절에 자주 오른 노송(老松)은 현재는 사라지고, 그를 추양하는 경송비만이 남아있다. 흥선대원군의 집과 1910년대 새로 지어 덕성여자대학교 본관으로 사용하던 서양식 건물을 합쳐 사적 제257호로 지정하였다
천도교 중앙대교당(天道敎 中央大敎堂)은 일제 시대의 천도교의 총본산 교당이며, 조선 시대 말기 때 동학 농민 운동의 거점이기도 하였다.
조선 말기의 혼란한 사회상과 더불어, 아울러 기존 종교인 불교·유교·선교·천신숭배사상은 그 존재 가치가 약해졌다. 이때 서학 천주교의 유입은 서민층의 비상한 관심을 끌었다. 이에 대응하여 나타난 것이 동학이다. 최제우는 1860년 보국안민, 포덕천하, 광제창생을 선포하고 동학을 창시하였다. 손병희는 1897년 동학의 제3대 교주로서, 1906년 동학을 천도교로 개칭하였다.
중앙대교당의 건립은 손병희에 의하여 추진되었다. 일제는 이 건물의 건립에 갖은 방해를 하였지만, 300만 교도의 성금으로 건립되었다. 신도 1호당 10원씩 모금하기로 계획하고 추진하였다 한다. 대지는 윤치오가의 1,500평이 할애되었다.
'서울, 경기 어디까지 가봤니? > 서울 여행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가볼만한곳, 서울봄꽃개화소식, 강남구 봉은사 홍매화 (3) | 2025.03.25 |
---|---|
서울가볼만한곳, 국립민속박물관, 기획전시, 꼭두, 만사형통(뱀의해) (3) | 2025.03.22 |
서울가볼만한곳, 서울구도심, 인사동 문화의거리 (10) | 2025.03.16 |
서울가볼만한곳, 보물 제142호 동관왕묘, 동묘벼룩시장 (5) | 2025.03.15 |
서울가볼만한곳, 천주교 서울대교구 주교좌 성당 명동대성당 (6) | 2025.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