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1507)
-
경기걷기좋은길, 경기둘레길 8코스, 파주 코스, 율곡습지공원 ~ 장남교
경기걷기좋은길, 경기둘레길 8코스, 파주 코스, 율곡습지공원 ~ 장남교 물새 우는 강 언덕에서다양한 표정을 보여주는 노선이다. 시작은 봄부터 가을까지 꽃이 환하게 피는 율곡습지공원이다. 임진강변 자투리땅을 개간해 만든 논둑길을 따라가기도 하고, 마을 사람들이 넘어 다녔을 오솔길을 걷기도 한다. 임진강과 나란히 가는 구간에서는 강물이 바로 옆으로 흐른다. 안개 자욱한 강마을 길은 신비롭다. 황포돛배를 탈 수 있는 두지나루를 지나 강둑 위로 오르면 장단교가 지척이다. 장단교를 건너며 보는 임진강은 평화롭다. 평화누리길 9코스와 노선이 같다.
2025.03.27 -
서울걷기좋은길, 서울시테마산책길, 인헌공 강감찬 길
서울걷기좋은길, 서울시테마산책길, 인헌공 강감찬 길 낙성대공원은 고려의 명장 인헌공 강감찬 장군(948년∼1031년)을 기리기 위해 조성된 곳이다. 낙성대는 강감찬 장군이 태어난 곳으로 장군이 태어날 때 출생지에 큰 별이 떨어졌다는 전설에 따라 붙은 이름이다. 1973년 서울특별시에서 주변 지역을 정돈하여 사당과 부속건물을 조성하였다. 공원 동쪽에 사당을 지어 안국사라 하여 장군의 영정을 모셨고 정면에는 외삼문인 안국문과 내삼문을 세웠다. 안국사는 고려시대 목조 건축양식을 대표하는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을 본떠 세웠으며 팔각 청기와 지붕이 올려져 있어 웅장한 느낌을 준다. 문 안에는 낙성대 3층석탑을 강감찬 장군 생가터에서 옮겨왔으며, 탑 맞은편에는 사적비를 세워놓았다. 낙성대공원은 울창한 숲을 이루고 계..
2025.03.26 -
서울가볼만한곳, 서울봄꽃개화소식, 강남구 봉은사 홍매화
서울가볼만한곳, 서울봄꽃개화소식, 강남구 봉은사 홍매화 봉은사 영각, 홍매화 포토존 많은 사람들이 휴대폰 카메라뿐 아니라 각종 전문 렌즈를 장착하고 사진 촬영 삼매경이다. 도심 속 사찰로 평소에도 많은 사람들이 방문하지만 꽃피는 이맘때면 부담 없는 봄꽃 명소로도 유명하다. 홍매화를 생각보다 많이 볼 수 없었는데도 홍매화를 카메라에 담기 위해 주말에는 어마어마한 인파가 몰린다.
2025.03.25 -
25, 3, 22 (토) 비상행동 헌법재판소 규탄집회후 헌재규탄 행진
25, 3, 22 (토) 비상행동 헌법재판소 규탄집회후 헌재규탄 행진참을만큼 참았다! 헌재를 규탄한다!
2025.03.24 -
횡성가볼만한곳, 국유림경영 시범단지, 청태산자연휴양림
횡성가볼만한곳, 국유림경영 시범단지, 청태산자연휴양림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둔내면 청태산로 610 면적 403만㎡ 1993년에 개장했으며 구역면적은 403만㎡, 1일 최대 수용인원은 1,000명, 최적 인원은 800명이다. 국유림경영 시범단지이다. 해발 1,200m의 청태산을 주봉으로 하여 인공림과 천연림이 조화를 이루고, 잣나무, 전나무 등 아름드리 침엽수가 우거진 거대한 삼림욕장으로 특히 높이 약 15m에 지름 30㎝ 정도의 잣나무가 주류를 이루어 낮에도 하늘이 잘 보이지 않는다. 휴양림 주위를 돌면서 이어지는 산길을 따라 산악자전거를 탈 수 있다. 숲 속은 노루, 토끼, 멧돼지 등 야생 동식물이 서식하고 있는 자연박물관이며, 통나무집이 길을 따라 드문드문 서 있고, 청소년 심신수련을 위한 숲속교실도..
2025.03.23 -
서울가볼만한곳, 국립민속박물관, 기획전시, 꼭두, 만사형통(뱀의해)
서울가볼만한곳, 국립민속박물관, 기획전시, 꼭두, 만사형통(뱀의해)국립민속박물관의 역사는 1924년 일본인 민속학자 야나기 무네요시에 의해 창립된 조선민족미술관이 모태다. 그러나 실질적인 박물관의 시작 연도는 1946년으로 미군정 시대에 개관한 국립민족박물관으로 본다. 그 후 1950년 국립민족박물관은 국립박물관에 흡수 통합되어 남산분관이 됐지만 1966년에 한국민속관으로 분리되었는데, 당시에는 독립된 직제나 조직이 없어서 문화재관리국에 소속되어 있었으며, 장주근 상근전문위원이 실질적 운영을 맡았다고 한다. 이후 1975년 한국민속박물관으로 명칭 변경 후 1979년 국립중앙박물관 소속으로 개편되면서 현 명칭이 됐다. 변천사만큼이나 국립민속박물관은 그 위상이 바뀔 때마다 박물관의 위치와 사용하는 건물도 계..
2025.0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