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1603)
-
서울가볼만한곳, 서울 강남권 교통의 메카, 강남 고속버스터미널
서울가볼만한곳, 서울 강남권 교통의 메카, 강남 고속버스터미널고속버스 터미널을 줄여서 부르는 말이지만 흔히 고속터미널이라고 하면 아래에 나오는 강남 고속버스 터미널을 의미한다. 외국의 고속터미널(Express Terminal)과는 완전 다른 의미이다. 서울 강남 고속버스 터미널을 부르는 말로 서울 서초구 반포동에 있는 서울고속버스터미널(경부선)과 센트럴시티(호남선) 터미널을 한데 묶어서 부르는 말이다. 흔히 강남터미널, 반포터미널로 많이 부르며 줄여서 '고터'라고도 많이 부른다. 이 지역은 터미널뿐만 아니라 지하철 3호선, 7호선, 9호선이 교차하는 고속터미널역까지 위치해 있기 때문에 그야말로 서울 강남권 교통의 메카와 같은 곳이라 할 수 있다. 강남지하상가라고도 불리는 고투몰도 규모가 크다
06:00:49 -
서울걷기여행, 종로꽃시장~대학로~혜화동주민센터~장면가옥(제2공화국 국무총리)
서울걷기여행, 종로꽃시장~대학로~혜화동주민센터~장면가옥(제2공화국 국무총리)장면 가옥은 운석(雲石) 장면(張勉, 1899~1966) 총리가 1937년 건립하여 거주했던 곳으로, 안채를 비롯한 사랑채·수행원실·경호원실이 원형대로 잘 남아 있으며, 한식과 일식 그리고 서양식 건축양식이 혼합되어 있는 매우 독특한 양식을 보여주는 보기 드문 가옥이다. 운석 장면은 일제강점기에 천주교의 교육운동과 문화운동을 이끌었고 광복을 맞아 대한민국 건국에 일익을 담당하였으며, 이후에도 우리나라 정치사의 전면에서 활약해 왔다. 특히 4.19혁명 이후 제2공화국 국무총리로서 정국을 운영하였으나 5.16 군사 쿠데타로 정치에서 물러나 운명할 때까지 가택연금을 당하는 등 우리나라 격동의 근대사의 한 복판에 서 있던 인물로, 이 가..
2025.07.09 -
서울걷기여행, 서울 종로구 창신동 백남준기념관~창신동골목시장~창신동 절벽 돌산마을
서울걷기여행, 서울 종로구 창신동 백남준기념관~창신동골목시장~창신동 절벽 돌산마을 백남준기념관 SeMA 백남준 기념관은 백남준(1932~2006)을 기념하는 공간입니다. 1937년부터 1950년까지 세계적인 예술가가 어린 시절을 보낸 집터에 지어진 백남준 기념관은 1960년에 지어진 단층 한옥을 원형 그대로 복원하여 세계적인 예술가의 발자취를 더듬어 볼 수 있습니다. 지역 주민들이 운영하는 백남준 카페는 방문객들이 편안하게 쉴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합니다 창신골목시장서울시 종로구 창신동 142-33에 있는 재래시장이다. 창신동 돌산마을서울시 종로구 창신동 채석장 절개지 아랫마을 창신동은 대한민국 의류산업의 대표적인 쇼핑명소..
2025.07.08 -
서울걷기좋은길, 흥인지문~종로닭한마리골목~광장시장먹자골목~탑골공원~인사동~조계사
서울걷기좋은길, 흥인지문~종로닭한마리골목~광장시장먹자골목~탑골공원~인사동~조계사흥인지문 흥인지문은 서울성곽 8개의 문 가운데 동쪽에 있는 문으로 서울성곽은 서울 한양도성의 옛 이름이며 옛날 중요한 국가시설이 있는 한성부를 보호하기 위해 만들었다.동쪽에 있는 큰 문이라 하여 동대문이라고도 부른다. 조선 태조 5년(1396) 도성 축조 때 건립했으며 단종 원년(1453)에 고쳐 지었고, 지금 있는 문은 고종 6년(1869)에 새로 지은 것이다. 앞면 5칸, 옆면 2칸 규모의 2층 건물이고 지붕은 앞면에서 볼 때 사다리꼴모양을 한 우진각 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가 기둥 위뿐만 아니라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 양식인데, 그 형태가 가늘고 약하며 장식한 부분이 많아 조선 후기의 특..
2025.07.07 -
서울걷기좋은길, 경희궁지~ 돈의문박물관마을~ 경교장~ 정동길
서울걷기좋은길, 경희궁지~ 돈의문박물관마을~ 경교장~ 정동길 경희궁지 원종의 집터에 세워진 조선후기의 대표적인 이궁이다. 원종(1580∼1619)은 선조의 5째 아들이자 인조의 아버지로 후에 왕으로 추존되었다. 1617년(광해군 9년)에서 1620년에 세워진 경희궁은 원래 경덕궁 이었으나 영조 36년(1760)에 이름이 바뀌었다. 원래의 규모는 약 7만여평 이었다. 그러나 민족항일기인 1907년부터 1910년에 걸쳐 강제로 철거되어 궁궐로서의 존재가치를 상실하였고 궁터도 철저하게 파괴되고 변형되어 결국 현재의 규모로 축소되었다. 경희궁에는 부속건물로 회상전, 융복전, 집경당, 흥정당, 숭정전, 흥학문, 황학정이 있었는데 융복전과 집경당은 없어졌다. 나머지 건물은 1910년 지금의 서울고등학교가 설립된 ..
2025.07.06 -
서울걷기좋은길, 서울광장~덕수궁정문(대한문)~ 고종의길(아관파천)~서울역사박물관
서울걷기좋은길, 서울광장~덕수궁정문(대한문)~ 고종의길(아관파천)~서울역사박물관 서울광장 2002년 월드컵을 계기로 시청 앞 광장이 응원의 메카로 부각되면서 시민결집과 커뮤니케이션 공간의 필요성이 확산되었고, 마침내 2004년 5월 1일 지금의 서울광장이 조성되어 많은 시민들이 광장을 이용하고 있다. 대한문(大漢門) 대한문(大漢門)은 현재 덕수궁의 정문이다. 19세기 말에 지어졌으며, 처음에는 대안문(大安門)이었다. 현재 서울시청 앞 광장을 바라보고 서있는데, 원래 위치는 태평로 중앙선 부근이었던 것을 뒤로 옮긴 것이다. 1904년까지 경운궁(현 덕수궁)의 정문은 원래 중화문 건너편에 있던 남쪽의 인화문(仁化門)이었으나, 1904년 덕수궁 화재 이후 1906년 중화전 등을 재건하면서 동쪽의 대..
2025.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