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2. 18. 06:00ㆍ서울 어디까지 가봤니?/서울 여행지
조금은 느릿한 걸음으로 만나는 왕의 산책로
궁궐은 일상에서 지친 마음을 위안받기 더없이 좋은 사색의 공간이다.
서울 도심에서 이만한 공간이 어디에 또 있겠는가? 더구나 왕의 산책로이다.
왕의 걸음걸이로 거드름까지는 아니라도 느릿하게 걷는 발걸음에
시간과 공간이 달라진다. 현재가 아닌 과거의 왕이 거닐던 길이다.
춘당지
춘당지는 1909년에 조성된 원지(苑池)이다. 두 개의 연못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위의 것이 1,107평방미터, 아래 것이 6,483평방미터이다. 연못 속의 섬(366평방미터)은 1986년에 조성한 것이다.
춘당지가 있는 이곳은 원래 연산군이 서총대(瑞총臺) 앞 대지를 파다가 중종반정으로 중단한 곳이다. 그 후 권농장(勸農場)의 논이 있었는데 연못으로 만들었다.
춘당지 원앙 (천연기념물 제327호)
춘당지에 20여년전 부터 텃새로 자리잡고 살고있다.
창경궁 백송 삼형제
창경궁의 백송은 수령 약 100여년으로 세 그루가 모여서 자라고 있다.
백송은 소나무의 한 종류로 바둑판 문양의 하얀색 껍질이 특징이다.
조선시대 중국에 사신으로 간 관료들이 귀국할 때 솔방울을 가져다 심은 것이 대부분이다.
번식이 어려워 살아있는 나무는 대개 천연기념물로 지정·관리되고 있다. 전국에 6곳이 있다.
창경궁 (사적 제123호)
창경궁은 성종 14년(1483)에 세조비 정희왕후, 예종비 안순왕후, 덕종비 소혜왕후 세분의 대비를 모시기 위해 옛 수강궁터에 창건한 궁이다. 수강궁이란 1418년에 세종이 상왕으로 물러난 태종의 거처를 위해서 마련한 궁이다.
창경궁은 창덕궁과 연결되어 동궐이라는 하나의 궁역을 형성하면서, 독립적인 궁궐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창덕궁의 모자란 주거공간을 보충해주는 역할을 하였다. 성종대 창건된 창경궁은 선조 25년(1592) 임진왜란으로 모든 전각이 소실되었고, 광해군 8년(1616)에 재건되었다. 그러나 인조2년(1624) 이괄의 난과 순조30년(1830) 대화재로 인하여 내전이 소실되었다. 화재에서 살아남은 명정전, 명정문, 홍화문은 17세기 조선시대 건축양식을 보여주며, 정전인 명정전은 조선왕궁 법전 중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이다.
팔각칠층석탑 - 보물1119호
춘당지 옆에 세운 탑이다. 일제 강점기 이왕가박물관을 만들 때 만주(滿洲)에서 가지고 온 상인으로부터 매입하여 세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몸돌에 “遼陽重/ 開山都/ 綱挺玉/ 巖壽塔”의 명문(銘文)이 새겨져 있으며, “大明成化六年庚寅歲秋七月上澣吉日造”라고 기록되어 있어 1470년(성종원년)에 만들어진 것임을 알 수 있다. 8각의 평면 위에 7층의 탑신을 세운 석탑으로 전체 모습은 라마탑의 형태와 비슷하다.
대온실-등록문화재 제83호
1909년 목재와 철재, 그리고 유리로 지어진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식 온실이다. 건축당시 동양최대의 규모였으며, 열대지방의 관상식물을 비롯한 희귀한 식물을 전시하였다. 1986년 창경궁 복원공사를 계기로 자생목본류를 중심으로 야생화와 함께 전시하고 있다. 현재 대온실은 2004년 2월 6일에 등록문화재 제83호로 지정되었다.
풍기대-보물 제846호
이 풍기대는 영조 8년(1732)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풍기대 위의 구멍에 깃대를 꽂고 그 깃대에 기를 달아 바람의 방향과 속도를 재던 것으로, 방향은 24방향으로 측정하였다.
전체 높이는 228.1센티미터인데, 하부대석 높이는 92.4센티미터, 상부 팔각주의 높이는 135.7센티미터이다
성종태실
양화당의 동북쪽 구릉지 숲속에 위치하고 있다. 태실은 4각형의 지대석 위에 석종형(石鍾形)의 몸체를 놓고 8각형의 지붕돌을 얹었으며 상륜부(相輪部)는 보주로 장식하였다.
태실비는 태실 동쪽에 있는데 귀부(龜趺)와 비신(碑身), 이수를 갖추고 있고 비신 앞면에는 "성종대왕 태실"이라 새겨져 있다. 이들은 원래 조선 제9대 성종의 태를 묻은 곳인 경기도 광주군 경안면에 있었던 것인데 1928년 전국에 있는 조선 역대 임금의 태실을 대부분 서삼릉으로 이봉하면서 원래 경기도 광주군 경안면 태전리에 있던 성종태실을 이곳으로 옮겼다고 전한다.
성종은 세조 3년(1457) 덕종의 둘째아들로 태어나 예종의 뒤를 이어 1469년 13세의 어린 나이로 즉위하였다. 그 뒤 25년동안 왕위에 있으면서 「경국대전」의 반포 등 조선의 문물 제도를 완비하는 데 힘을 기울였으며 특히 창경궁을 창건한 임금이기도 하다.
관천대-보물 제851호
이 관천대는 소간의(小簡儀)를 설치하여 천문을 관측하던 곳으로, 「書雲觀志」에 보면 숙종 14년(1688)에 조성된 것이다. 원래 창덕궁 금마문 밖에 있던 것을 일제 때 창경궁으로 옮겨 왔다.
높이는 2.2미터, 넓이는 2.4*2.3미터이며, 주위에는 돌난간을 돌렸다. 대의 중앙에는 높이 99센티미터의 관측기를 설치하는 작은 대가 있고, 그 위에 넓이 73.4*52.6센티미터, 두께 24.5센티미터의 또하나의 판석이 있다. 여기에 남북방향으로 관측기를 고정했던 5개의 구멍이 파여 있다.
회화나무
한자로는 느티나무와 같이 괴목으로 불렀고 동궐도(국보 249호)에도 보이는 나무이다.
뒤주에 갇힌 사도세자가 죽은곳이 이 근처이고 비극적인 사건이 많이 발생한 선인문과 역사를 같이 한 나무이다
창경궁
서울 종로구 와룡동 2-1
02-762-4868
'서울 어디까지 가봤니? > 서울 여행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가볼만한곳] 초등학생 자녀들과 가볼만한곳 남산탐구학습관 (0) | 2012.03.10 |
---|---|
장희빈이 사약을 받고, 사도세자가 뒤주에서 죽은 궁중비극의 궁궐 (0) | 2012.02.20 |
북촌8경탐방기 (0) | 2012.02.17 |
존재 그 자체로 한 세기의 회고록인 중앙고등학교 (0) | 2012.02.16 |
[서울 가볼만한곳] 동대문역사문화공원 (0) | 2012.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