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방방곡곡 여행지/경기도 여행지(730)
-
안성가볼만한곳, 안성탕면공장 견학, 안성맞춤시장
안성가볼만한곳, 안성탕면공장 견학, 안성맞춤시장 1983년 9월 13일부터 농심에서 생산하고 있는 라면. '내 입에 안성맞춤' 이라는 독특한 구호가 인상적인 라면으로, 신라면, 짜파게티, 새우깡, 너구리와 함께 지금의 농심을 만들어준 일등공신이다. 당시 면을 강조하던 삼양라면과 경쟁이 붙은 농심은 스프를 연구하기 시작했고, 다양한 시행착오를 거쳐 지금의 안성탕면을 출시해 대박을 터뜨린다. 이에 삼양에서는 안성탕면의 대항마로 서울탕면, 영남탕면, 호남탕면을 내놓았지만 크게 히트는 못 치고 단종되었다. 이름에 '안성'이 들어가 있는데, 실제로 제조 공장이 안성시에도 있다. 참고로 공장의 지명을 따서 이름 붙였다는 것을 확실히 보여주는 사례가 있다. 농심이 중국으로 진출하면서 최초에 공장을 설립한 곳이 상하이..
2024.11.05 -
인천가볼만한곳, 바다열차, 월미도문화거리
인천가볼만한곳, 바다열차, 월미도문화거리 인천의 대표적인 관광지 중의 하나인 월미도에는 월미도 문화의 거리, 월미공원, 월미테마파크 등이 있다. 월미도 문화의 거리는 보행자 전용 도로로 차량 출입시간을 제외하고는 차량의 출입이 통제되어 있다. 초상화를 그려주는 길거리 화가들이 나와 있고 앉아 쉴 수 있는 벤치가 있는 작은 쉼터 같은 거리다. 월미공원에 위치한 월미 전망대에서는 인천항 일대의 전경을 다 볼 수 있어 월미도를 간다면 한 번쯤 들러서 전망을 구경하는 것도 좋다. 놀이와 체험이 가능한 월미테마파크에는 다양한 놀이 기구가 있어 연인들의 데이트 장소나 가족들의 나들이 장소로 인기 있다. 월미 달빛 음악 분수는 월미문화 거리 안에 있는 분수로 크지는 않지만 월미도의 볼거리 중 하나이다. 5월 1일부터..
2024.10.22 -
동두천가볼만한곳, 동두천문화특구 캠프 보산
동두천가볼만한곳, 동두천문화특구 캠프 보산 경기도 북부에 위치한 동두천시. 원래는 양주군 이담면, 은현면에 속한 지역이었으나 1980년대 동두천시로 분리 및 편입되었고, 양주군은 2003년 양주시로 승격하여 현재에 이른다. 도시 이름은 주한미군 동두천기지인 캠프 케이시(Camp Casey)와 턱거리 근처의 캠프 호비(Camp Hovey) 경내 일대를 흐르는 하천의 이름인 동두천에서 유래하였다.동쪽으로는 포천시, 서쪽과 남쪽으로는 양주시, 북쪽으로는 연천군에 접하고 있다. 전방에 속하는 지역으로 군사 시설이 많다
2024.10.20 -
가평가볼만한곳, 가평 8경 중, 6경, 운악산출렁다리
가평가볼만한곳, 가평 8경 중, 6경, 운악산출렁다리 운악산은 가평 8경 중, 6경으로 구름을 뚫은 봉과 같이 기암괴석이 절경을 이루고 있으며 산 중턱에 자리 잡은 현등사와 백년폭포, 눈썹바위 등 절경이 산재해 있습니다. 운악산 출렁다리는 길이 210m, 폭 1.5m 규모로 조성됐으며, 다리 양쪽에 전망대를 통해 50m 높이 다리 위에서 자연의 아름다움을 한눈에 감상할 수 있습니다. 출렁다리를 건너려면 등산로 입구 주차장에서 약 1.5km를 걸어 올라가야 하며, 이용요금은 무료입니다.
2024.10.16 -
안성가볼만한곳, 안성포도따기체험, 안성장터국밥
안성가볼만한곳, 안성포도따기체험, 안성장터국밥 포도는 오래 전부터 우리 땅에서 재배된 것으로 추정된다. 또 포도의 한 종류인 머루의 자생지이기도 하다. 그러나 원예작물로 재배하기 시작한 것은, 그러니까 상업적으로 규모 있는 재배단지를 조성한 것은 1906년 뚝섬에 원예모범장이, 1908년 수원에 권업모범장이 설립되어 외국에서 도입한 포도 품종들이 재배되면서부터이다. 그 몇 해 전인 1901년 민간에서의 외국 포도 품종 도입이 있었는데, 그 지역이 안성이다. 남프랑스 캄블라제 출신의 안토니오 콩베르 신부가 안성에 교회를 지으면서 미사용 포도주를 제조하기 위해 머스캣(Muscat) 품종을 심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24.10.15 -
인천 강화 석모도가볼만한곳, 낙가산 보문사
인천 강화 석모도가볼만한곳, 낙가산 보문사 인천 강화군 삼산면(三山面) 매음리(煤音里) 낙가산(洛伽山)에 있는 절. 635년(선덕여왕 4)에 회정(懷正)이 창건하였다고 하는데, 649년(진덕여왕 3)에 어부들이 불상과 나한 ·천진석상 22구(軀)를 바다에서 건져내어 천연석굴 안에 봉안함으로써 널리 알려지기 시작하였다. 입구에 3개의 홍예문을 설치하고 천연동굴 내에 반월형 좌대를 마련하고 탱주(撑柱)를 설치하였는데, 탱주 사이에 21개의 감실(龕室)이 있어 거기에 석불을 안치하였다. 이 석실은 지방유형문화유산 제57호로 지정되어 있다. 또 1928년에는 절 뒤편 절벽에 높이 32척 너비 12척의 관음상을 새겼다. 이 마애석불좌상(磨崖石佛坐像)은 지방유형문화유산 제65호로 지정되었다
2024.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