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여행] 국보 제51호 강릉 임영관 삼문 (江陵 臨瀛館 三門)

2011. 12. 11. 18:30전국 문화재와 박물관/국가지정 문화재

 

[강릉여행] 국보  제51호 강릉 임영관 삼문 (江陵 臨瀛館 三門)

 

고려시대에 지은 강릉 객사의 정문으로, 현재 객사 건물은 없어지고 이 문만 남아 있다. 객사란 고려와 조선시대 때 각 고을에 두었던 지방관아의 하나로 왕을 상징하는 나무패를 모셔두고 초하루와 보름에 궁궐을 향해 절을 하는 망궐례를 행하였으며, 왕이 파견한 중앙관리나 사신들이 묵기도 하였다.

이 객사는 고려 태조 19년(936)에 총 83칸의 건물을 짓고 임영관이라 하였는데, 문루에 걸려 있는 ‘임영관’이란 현판은 공민왕이 직접 쓴 것이라고 한다. 몇 차례의 보수가 있었고, 일제시대에는 학교 건물로 이용하기도 하였다. 학교가 헐린 뒤 1967년에 강릉 경찰서가 들어서게 되고 현재는 마당에 객사문만 남아 있다. 남산의 오성정·금산의 월화정·경포의 방해정은 객사의 일부를 옮겨 지은 것이다.

문은 앞면 3칸·옆면 2칸 크기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을 한 맞배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짜은 구조가 기둥 위에만 있는 주심포 양식으로 간결한 형태로 꾸몄다. 앞면 3칸에는 커다란 널판문을 달았으며, 기둥은 가운데 부분이 볼록한 형태이다.

간결하고 소박하지만 세부건축 재료에서 보이는 세련된 조각 솜씨는 고려시대 건축양식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국보  제51호 강릉 임영관 삼문 (江陵 臨瀛館 三門)

 

 

 

 

객사란 고려< 高麗 >와 조선시대< 朝鮮時代 >에 각 고을에 두었던 관사< 官舍 >를 말한다. 조선시대에는 정전< 正殿 >에 국왕< 國王 >의 전패< 殿牌 >를 모시어 두고 초하루와 보름에 향궐망배< 向闕望拜 >하였으며 왕이 파견한 중앙관리가 오면 여기서 유숙< 留宿 >하게 하였다. 이 객사는 고려 태조< 太祖 > 19년(936) 본부< 本府 > 객사로 총 83칸의 건물을 창건하고 임영관< 臨瀛館 >이라 하였으며 공민왕< 恭愍王 > 15년(1366) 왕이 낙산사< 洛山寺 >로 행차 도중 현액을 친필< 親筆 >로 썼다고 전한다. 그후 수차 중수< 重修 >되어 오다가 1929년 일제< 日帝 >시 강릉공립보통학교(후에 강릉국민학교가 됨) 시설로 이용되었고 동교< 同校 >가 헐린 뒤에는 공지< 空地 >로 남게 되었다. 1967년 12월 여기에 강릉경찰서 청사가 세워지게 되었으며 이 문만이 남게 되었다. 남산의 오성정< 五星亭 >, 금산의 월화정< 月花亭 >, 경포의 방해정< 放海亭 > 등은 객사의 일부이었던 것을 옮긴 것이라 한다. 이 문은 간결하고 소박하고 주심포계< 柱心包系 >의 형식을 취하고 있는 맞배지붕의 삼문< 三門 >이다. 기둥의 배흘림은 현존해 있는 목조건축< 木造建築 > 유구< 遺構 > 중 가장 크고 주두< 柱頭 >와 소로< 小累 >의 굽은 곡을 이루고 굽받침을 두었으며 단장혀< 短長舌 >로 외목도리< 外目道理 >를 받게 하였다. 또한 쇠서< 牛舌 >, 첨차< 첨遮 > 화반< 花盤 >, 보< 樑 > 등의 세련된 조각 솜씨는 고려시대< 高麗時代 > 건축양식< 建築樣式 >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글출처~문화재청

 

 

 

 

 

 

 

 

강릉 임영관 (江陵 臨瀛館)

현재의 건물은 복원된 것입니다.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에 걸쳐 중앙의 관리들이 강릉에 내려오면 머물던 건물터이다.

조선시대 기록을 보면 고려 태조 19년(936)에 세워져, 83칸의 건물이 있었으나

 지금은 객사문(국보 제51호)만 남아 있다.

객사문은 고려시대 건축물 가운데 현재까지 남아있는 몇 안되는 건물 가운데 하나로,

공민왕이 쓴 ‘임영관’이란 현판이 걸려 있다.

 

 

 

 

 

1993년에 강릉 시청 건물을 지을 계획으로 실시한 발굴 조사한 결과,

 고려·조선에 이르기까지 관아 성격의 건물터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얻을 수 있는 자리임을 알게 되었다.

또한 조선시대 『임영지』의 기록을 통해 이 유적의 중요성과

옛 강릉부의 역사와 문화를 알려준다는 점에서도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받고 있다.


 

좌측부터 서헌,전대청,동대청

 

 

중대청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7호 칠사당 (七事堂)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7호 칠사당 (七事堂)

 

조선시대에 7가지 공무(호적·농사·병무·교육·세금·재판·풍속)를 보았던 관청건물이다.

처음 세운 연대는 확실하지 않으나 조선 인조 10년(1632)에 다시 지은 뒤, 영조 2년(1726)에 크게 확장하였다. 고종 3년(1866)에는 진위대의 청사로 쓰였으나, 불에 타 없어지고 부사 조명하가 이듬해에 다시 지었다. 일제시대부터 1958년까지 군수나 시장의 관사로 사용되다가 1980년에 다시 옛 모습을 되찾았다.

 

 

 

 

앞면 7칸·옆면 3칸 규모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다. ㄱ자형 구조로 앞면 왼쪽에 본 건물보다 높은 누마루를 연결하였다. 누마루 연결부분에는 다락방을 두었고 본 건물 왼쪽 1칸에는 온돌방을 설치하였다. 가운데 3칸은 대청마루를 두고 온돌방과 툇마루를 좌우에 두어 대청마루와 연결시켰다.

칠사당은 전체적으로 뒤의 산세와 조화를 이루고 있는 건물이다.

 

 

 

 

 

 

 

 

 

 

아문

 

 

아문,중문

 

 

의운루

 

 

 

 

 

동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