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궁리유적 (사적 제408호) [전북/익산]

2012. 12. 9. 05:57전국 문화재와 박물관/국가지정 문화재

 

 

 

 

 

왕궁리유적 (사적 제408호) [전북/익산]

 

 

 

왕궁리성지 라고도 부르며 마한의 도읍지설, 백제 무왕의 천도설이나

별도설, 안승의 보덕국설, 후백제 견훤의 도읍설이 전해지는 유적이다.

발굴조사한 결과, 이 유적은 적어도 세 시기(백제 후기∼통일신라 후기)를

지나면서 만들어진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석탑 동쪽으로 30m 지점에서

통일신라시대 것으로 보이는 기와 가마 2기를 발견했다.

 특히 탑을 에워싼 주변의 구릉지를 중심으로

직사각형 모양의 평지성으로 생각되는 성곽 유물을 찾았다.

성곽의 모습은 현재 발굴을 통해 점점 드러나고 있다.

또한 성곽 안팎으로 폭이 약 1m정도로 평평한 돌을 깔아 만든

 시설이 발견되어 성곽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

이 지역 안에 있는 왕궁리 5층석탑(국보 제289호)과 절터의 배치를

 알 수 있게 하는 유물, 바깥쪽을 둘러싸고 있는 직사각형의 성이 발견되어

, 백제 후기의 익산 천도설이나 별도설을 뒷받침하는 중요한 유적으로 떠오르고 있다.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益山 王宮里 五層石塔) 국보 제289호

 

 

 1단의 기단(基壇) 위로 5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으로,

기단부가 파묻혀 있던 것을 1965년 해체하여 수리하면서 원래의 모습이 드러났다.

탑의 기단은 네 모서리에 8각으로 깎은 주춧돌을 기둥삼아 놓고, 기둥과 기둥 사이에는

 길고 큰 네모난 돌을 지그재그로 맞물리게 여러 층 쌓아 올려놓아 목조탑의 형식을

석탑에서 그대로 재현하고 있다. 이 팔각기둥과 네모난 돌들 사이는

흙을 다져서 메웠는데 이 속에서 백제시대의 기와조각이 발견되기도 하였다.

 발굴 중에 기단 각 면의 가운데에 2개씩 기둥조각을 새긴 것이 드러났으며,

 탑의 1층 지붕돌 가운데와 탑의 중심기둥을 받치는 주춧돌에서 사리장치가 발견되었다.

 

 

 

 

 

 

 

1층부터 5층까지 탑신부 몸돌의 네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을 새겼으며,

1층 몸돌에는 다시 면의 가운데에 2개씩 기둥 모양을 조각했다. 지붕돌은 얇고

 밑은 반듯하나, 네 귀퉁이에서 가볍게 위로 치켜 올려져 있으며, 방울을 달았던

 구멍이 뚫려 있다. 각 층 지붕돌의 윗면에는 몸돌을 받치기 위해

다른 돌을 끼워놓았다. 5층 지붕돌 위에는 탑머리장식이 남아있다.

지붕돌이 얇고 넓어 빗물을 받는 낙수면이 평평한 점이나, 탑신부 1층의 지붕돌이

기단보다 넓은 점 등 백제석탑의 양식을 일부 유지하고 있다.

그동안 언제 제작되었는가에 대해 의견이 분분한 상태였으나 1965년 보수작업 때

기단의 구성양식과 기단 안에서 찾아낸 사리장치의 양식이 밝혀지면서

그 시기가 비교적 뚜렷이 밝혀졌다. 즉, 백제의 옛 영토 안에서 고려시대까지 유행하던

 백제계 석탑양식에 신라탑의 형식이 일부 어우러진 고려 전기의 작품으로 추측된다.


 

 

 

 

 

이 석탑에서 발견된 고려시대의 유물들은 국보 제123호로 일괄지정되어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보관하고 있다. 최근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의 발굴과정에서 지금의 석탑에 앞서

목탑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 흔적이 이 탑 밑부분에서 발견되어 다시금 주목을 끌고 있다.

 

 

 

 

 

 

 

 

탑신부는 옥신·옥개석(屋蓋石)이 모두 몇 장의 돌로 구성되어 있는데, 1층 옥신은 우주가 새겨진

기둥모양의 4우석(隅石)과 탱주가 새겨진 중간석(中間石)으로 되어 8개의 돌로 이루어져 있다.

 2층은 4면이 각 면 한돌씩이고, 3층 이상은 2개씩의 돌로 되어 각각 우주형(隅柱形)이 표시되어 있다.

 옥개석은 매우 넓은데, 받침과 지붕이 각각 딴 돌로 되어 있다. 받침은 각 층 3단으로 4개씩의 돌로 짜여 있으나

등분(等分)되지는 않았다. 개석(蓋石)은 1층부터 3층까지 8개의 돌로 되고, 4·5층은 4개이다. 추녀는 얇고

 추녀밑은 수평이나 우각(隅角)에서 가벼운 반전(反轉)을 보여주는 곳에 밑으로 풍령공(風鈴孔)이 뚫려있다.

 옥상(屋上)의 경사는 완만하고 전각(轉角)의 반전곡률(反轉曲率)도 경미한데, 옥신을 받치기 위하여 딴 돌을 끼워 놓았다.

상륜부(相輪部)에는 노반(露盤)·부발(覆鉢)·앙화(仰花), 그리고 부서진 보륜(寶輪) 1개가 남아 있다.

 

 

 

 



이 탑에서는 보수 때에 제1층 옥개석 중앙과 기단부에서 각각 사리장엄구(舍利莊嚴具)

(일괄(一括) 국보 제123호(國寶 第123號))가 발견되었는데, 탑신부에서는 정4각형 돌에

 좌우로 2개의 네모 구멍을 뚫고 유개금동함(有蓋金銅函)을 각각 장치(藏置)했었다고 한다.

 동쪽 금동함(金銅函) 안에는 금제유개방합(金製有蓋方盒)이 있었고, 그 안에 금제연화대좌(金製蓮華臺座)와

연봉오리형 마개를 갖춘 녹색의 장두원저병(長頭圓底甁)이 있었다고 한다. 서쪽 금동함 안에는

금제유개장방합(金製有蓋長方盒)이 있었고, 그 안에 절첩식 금구(折帖式 金具)로

 연결되고 금대(金帶) 2줄로 묶은 순금판경(純金板經)이 있었다고 한다.

기단에서는 품자형사리공(品字形舍利孔)이 있는 정4각형 심초석(心礎石)이 있었는데,

동쪽 구멍에서는 광배(光背)·대좌(臺座)를 갖춘 청동여래입상(靑銅如來立像) 1구(軀)와

 청동령(靑銅鈴) 1개가 발견되었다. 북쪽 구멍에서는 향류(香類)가 발견되었으나,

 서쪽 구멍은 일찍이 도굴당했는지 아무것도 없었다고 한다.

 

 

 

 

 

 

 


이 석탑에 대해서는 그 조성 연대에 대한 의견이 구구하였는데, 보수 전까지의 지견(知見)으로

 옥개양식에서 백제탑계(百濟塔系)를 따르고, 탑신부의 돌 결구(結構)수법과 옥개받침 수법에서

 신라(新羅) 석탑을 따르고 있으므로 통일신라(統一新羅) 초기의 작품으로 보아 왔다. 그러나 보수 때에

알게 된 기단의 구성 양식이나 사리장엄구의 양식을 종합하여, 옛 백제(百濟)영역 안에서 후세에까지

유행하던 백제계(百濟系) 석탑 형식에 신라탑(新羅塔) 형식이 첨가된 고려(高麗)초기의 조성으로 짐작되고 있다.

 

 

 

 

건물터

 

 

 

 

 

 

 

 

 

 

 

 

 

 

금당터

 

 

 

 

 

 

 

 

 

 

 

 

 

 

왕궁리유적 (사적 제408호)

전북 익산시  왕궁면 산80-1외,금마면 동고도리 1109-8외

063-859-5778

전라북도 익산시 문화관광팀 063-859-57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