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민의 안심입명 귀의처로서 열려있는 수행사찰 낙산 묘각사

2011. 11. 16. 11:30전국 절집이야기/사찰(寺刹) 이야기

서울시민의 안심입명 귀의처로서 열려있는 수행사찰 낙산 묘각사

 

1930년 5월 태허 대종사께서 창건하셨고, 그 뒤 두 차례의 증 ․ 개축을 하였는데 1997년 2월에 화재로 전소되었던 사찰을 주지 홍파큰스님의 크신 원력으로 중창불사 7년 만에 크게 복원하여 현재의 웅장한 신행도량을 열게 되었다.

서울시민을 위한 수행과 대중 불교 운동을 지향한 법화신앙의 중심사찰이다. 현 위치에 절을 세우면 서울이 편안하고, 시민생활에 안정을 가져온다는 풍수지리설에 의해 터를 잡았다고 한다. 현재 낙산 묘각사는 대불보전, 원통보전, 낙가선원, 석굴암, 산신각, 그리고 마애관음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석굴암에 모셔진 부처님은 9세기에서 10세기 초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귀중한 성보문화재이다. 또한 만력 2년 10월(1574년 조선조 선조)에 조성된 청동부처님을 소장하고 있다. 서울의 중심지역에 위치한 낙산 묘각사는 서울시민의 안심입명 귀의처로서 열려있는 수행사찰이다. 청정법신 비로자나부처님을 봉안하고, 십일면 관음보살상을 모시고 있다. 경내에 모셔진 마애 관세음보살상은 천연 바위산인 낙산의 절벽에 조성되어 서울특별시 문화재로 등록되었다.

2002년 세계 월드컵 대회 때부터 전통불교 문화체험인 템플스테이 사찰로 지정되어 올 하반기만 12차 템플스테이 참가자들이 사찰의 문화체험의 인연을 맺었다. 낙산 묘각사 도량에는 태허 대종사의 사리탑과 법성보살의 공덕비가 조성되어 도심 속에서 느낄 수 있는 전통사찰의 면모를 갖추고 있다.
낙산 묘각사 건축 및 자랑새로 중창한 대불보전과 원통보전의 건축양식은 내5포, 외3포의 금단청의 동기와(銅器瓦)로 조성한 최고의 건축양식을 갖추고 있다.
법당내의 수미단은 홍송(紅松)에 5번 옻칠을 한 것으로 석가모니 부처님의 팔상성도를 양각으로 조각하였고, 부처님을 봉안한 닷집은 전통양식의 9포로 장엄하였다.
대불보전에는 만봉스님의 천불탱화가 모셔져 있고, 석굴암에는 양각으로 조성된 팔부신장과 칠성여래부처님을 모시고 있다. 산신각에는 서울시내에서 유일하게 15세기부터 내려오는 산신제의 전통으로 기도하고 있으며, 산신님, 산신 동자, 호랑이 상(像)을 조성하여 그 기도의 영험함이 널리 알려져 있다.

 

 

 

 

 

 

바위산 낙산(駱山)은 현재 서울시 종로구 숭인동에 소재한 도심 속 시민의 쉼터인 ‘숭인공원’으로 조성되어 있다.
15세기 호랑이가 출몰하였다고 전하는 것을 보면 매우 울창한 숲이었던 것으로 추측되는데, 그때부터 주민의 안녕을 위해 산신제를 봉행해 왔던 전통이 아직까지 이어오고 있다. 1931년 관음종 개산조이신 태허 큰스님께서는 서울시민의 안정을 위해 낙산 묘각사에 산신각을 조성하시고 매년 섣달 그믐날부터 정월 초 3일까지 산신철야기도를 봉행해 온지 80여년에 이르고 있다.

 

 

 

 

 

낙산은 동망봉(東望峯)으로 널리 불리우고 있는 사연이 다음과 같다.

1454년(단종 2년) 정순왕후 송씨(정순왕후 송씨, 1440~1521)가 단종비로 책봉된 후 세조 3년 1457년 단종이 영월로 유배되면서 궁궐 밖으로 추방되었다. 그 뒤 단종의 억울한 죽음을 안 왕후는 아침, 저녁으로 이 낙산 봉우리에 올라 단종의 유배지인 동쪽을 보고 영월에서 떠도는 단종의 명복(冥福)을 빌었던 것에서 유래하여 동망봉(東望峯)으로 알려져 왔었다. 그 뒤 영조는 지난날 동망봉의 사연을 듣고 영조 47년(1711)에 동망봉(東望峯)이란 석 자를 정순왕후가 올랐던 바위에 새기게 하였는데, 일제 때부터 광복 후까지 채석장이 되면서 글자는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

현재 낙산의 서쪽부분은 일제시대 때 깨어져 나가 절벽만 남았으나 동쪽은 숲이 우거진 산으로 산소 역할을 다하고 있다. 삼각산(북한산, 도봉산, 관악산)의 줄기로서 도심 속의 명소로 자리잡은 낙산 묘각사는 천년이 넘는 절벽에 새긴 마애관세음보살과 산신의 영험함을 한꺼번에 경험할 수 있는 불교 신행도량으로서 그 역할을 다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