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문화재와 박물관/국가지정 문화재(631)
-
조선시대 고관들이 낚시를 즐기던 곳, 지수당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4호)
조선시대 고관들이 낚시를 즐기던 곳, 지수당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4호) 조선 현종 13년(1672)에 이세화(1630∼1701)가 지은 건물로 당시 고관들이 낚시를 즐기던 곳이다. 이세화는 조선 후기 문신으로 숙종 15년(1689) 인현왕후 폐위시 상소를 올렸다가 문초를 당하고 귀양을 가게 된다. 그 뒤 ..
2012.02.05 -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종묘 (宗廟) 사적 제125호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종묘 (宗廟) 사적 제125호 종묘는 조선왕조의 왕과 왕비, 그리고 죽은 후 왕으로 추존된 왕과 왕비의 신위를 모시는 사당이다. 종묘는 본래의 건물인 정전과 별도의 사당인 영녕전을 비롯하여 여러 부속건물이 있다. 태조 3년(1394)에 한양으로 도읍을 옮기면서 짓..
2012.02.04 -
[문화재탐방/서울] 서대문형무소 사형장 (사적 324호)
[문화재탐방/서울] 서대문형무소 사형장 (사적 324호) 예전의 서울구치소 사형장 입구 안팎으로 미루나무가 서 있다. 일제는 조선반도의 식민화를 위해 서대문형무소 사형장에서 400여명을 사형시켰다. 사형방법은 수하식(밧줄을 목에 건 후, 밑바닥 마루가 아래로 처지게 함으로써 매달려..
2012.02.03 -
[문화재탐밤/서울] 사적 제160호 제반교(濟盤橋) 일명 살곶이다리
[문화재탐방/서울] 제반교(濟盤橋) 일명 살곶이다리 1967년 12월 15일 사적 제160호로 지정되었다. 조선시대의 가장 긴 다리였다고 하며 원래 이름은 제반교(濟盤橋)였고 일명 살곶이다리라고 한다. 조선시대에 도성에서 동남쪽으로 경상도 봉화(奉化)에 이르는 간선로(幹線路) 위에 놓여 있..
2012.02.03 -
[문화재탐방/옥천] 등록문화재 제7호"옥천 삼양성당[옥천성당]"
[문화재탐방/옥천] 등록문화재 제7호"옥천 삼양성당[옥천성당]" 옥천성당은 충청북도 옥천군 삼양리 158-2번지에 위치한 천주교 청주교구에 속한 지역 교회(천주교옥천교회)의 종교 집회 장소이다 . 주보 성인은 아기 예수의 성녀 소화 데레사이다. 성당 건물은 2002년 2월 28일 등록문화재 ..
2012.02.02 -
[문화재탐방/경기도] 현절사 (顯節祠)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4호
[문화재탐방/경기도] 현절사 (顯節祠)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4호 병자호란(1636) 때 3학사 윤집·홍익한·오달제의 넋을 위로하고 충절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사당이다. 3학사는 적에게 항복하기를 끝까지 반대하다가 청나라에 끌려가 갖은 곤욕을 치르고 참형을 당하였다. 조선 숙종 14년(16..
2012.02.02